서울 오피스 공실률이 4분기 연속 증가했다. 마곡 업무지구 내 대규모 오피스가 잇따라 공급되면서 서울 전체 공실률을 끌어 올린 것으로 해석된다.
13일 상업용 부동산 기업 알스퀘어가 발표한 ‘2024년 4분기 오피스 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서울 오피스 평균 공실률은 4.9%를 기록했다. 이는 전 분기 대비 2.0%포인트(p) 상승한 수치
상업용 부동산 시장이 유형에 따라 회복과 둔화가 혼재된 흐름을 보인다. 오피스 시장은 침체할 것으로 보는 시선이 늘었으나, 물류센터의 경우 반등 기대감이 커졌다.
12일 상업용 부동산 전문기업 ‘젠스타메이트’가 국내 주요 투자사 및 운용사 임직원 70여 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한 결과, 응답자의 50%가 오피스 시장의 후퇴 또는 침체를 예상했다.
지난해 서울 전 권역에서 활발한 오피스 거래가 이뤄지며 거래 규모가 전년 대비 20% 이상 확대됐다. 올해 역시 금리 인하 가능성이 점쳐지는 만큼 우량 자산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이어질 것이라는 예측이 고개를 든다.
4일 글로벌 부동산 서비스 기업 ‘세빌스코리아’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서울 프라임 오피스 공실률은 3.5%를 기록했다. 2023년 3
대체투자 전문 자산운용사 마스턴투자운용은 올해 글로벌 상업용 부동산 시장의 주요 동향과 전략을 다룬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글로벌 상업용 부동산 시장의 회복 가능성과 투자 기회를 다각도로 분석하고, 중·장기적 관점에서 투자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 방향을 제시했다.
이번 보고서
지난해 서울과 경기 성남시 분당구를 중심으로 오피스 거래가 늘면서 지난해 전국 오피스 거래액이 13조 원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가 펴낸 ‘2024년 투자 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기준 거래량은 53건, 거래액은 13조1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3년 거래량 34건, 거래금액 8조7000억 원보다 50%
올해 상업용 부동산 시장 거래 규모는 지난해와 비슷하거나 소폭 증가할 전망이다.
CBRE코리아는 24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5 국내 상업용 부동산 시장 전망 보고서'를 내놨다.
지난해 상업용 부동산 시장 거래 규모는 약 22조 원으로 기존 최대치였던 2021년 21조 원을 넘어섰다. 2023년과 비교하면 49%가량 늘어난 수치다.
오피스가 1
LG전자와 네이버클라우드가 ‘공동 구독 프로모션 및 기업 고객 맞춤 서비스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양사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LG 전자칠판’과 비즈니스용 인공지능(AI) 회의록 작성 솔루션 ‘네이버웍스 클로바노트’를 같이 이용하고 혜택을 받는 기업 간 거래(B2B) 구독 프로그램을 선보이며 스마트 오피스 시장 공략에 나선다
지난해 4분기 서울 오피스 시장 거래 규모가 5조 원을 넘기며 3년 만의 최대 기록을 썼다.
22일 상업용 부동산 전문기업 ‘젠스타메이트’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오피스 시장의 연간 거래 규모는 13조3487억 원으로 전년 대비 77% 증가했다. 2020년(13조9916억 원)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큰 규모다. 강남 권역(GBD) 거래 규모가 5조760
KB자산운용이 하이트진로 서초사옥 매각에 속도를 내고 있다. 본격적인 금리인하가 단행되면서 부동산 시장 숨통이 트이고, 내달 남부터미널역 4-1번 출구 개통과 맞물려 자산안정화에 성공했다고 판단한 것이다. 2020년 매입한 지 약 5년 만이다.
15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KB자산운용은 최근 해당 자산에 대한 투자설명서(IM) 배포를 마쳤다.
서울 A급 오피스 시장에 향후 7년간 471만㎡의 신규 공급이 이뤄지면서 기존보다 45% 확대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CBRE코리아는 8일 '서울 오피스 2030'을 통해 이런 관측을 제시했다. 2031년까지 예정된 서울 오피스 신규 공급의 83%는 중심업무지구(CBD)에 집중된다. 규모는 기존 CBD 규모의 78%에 달하는 389만㎡다.
공급이
서울 오피스 시장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유행을 거치며 전례 없는 임대인 우위를 보인다. 향후 7년 내 서울 A급 오피스 시장(연면적 3만3000㎡ 이상)에 신규 건물이 대량으로 공급될 예정이다. 이 같은 변화가 공실률과 임대료 상승률에 영향을 줄 수 있을지에 시선이 모인다.
7일 글로벌 상업용 부동산 기업 ‘CBRE코리아’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오피스 시장 거래 규모가 13조 원 선을 넘겼다. GBD(강남·서초)와 CBD(종로·중구) 권역의 대형 오피스 거래가 전체의 80%를 차지하며 시장을 주도한 것으로 분석된다.
3일 상업용 부동산 전문기업 ‘젠스타메이트’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오피스 시장에선 총 13조4000억 원의 오피스 거래가 이뤄졌다. 이는 젠스타메이트 리서치센터가 오피
올해 2분기 기준 국내 금융권의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중 부실이 우려되는 사업장 규모가 2조6100억 원에 달하는 것을 나타났다.
2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금융권의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잔액은 56조3000억 원으로 3월 말 대비 7000억 원 감소했다. 이는 금융권 총자산 7081조6000억 원의 0.8% 수준이다.
업권별로는 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유행으로 유례없는 한파를 맞았던 서울 주요 대형 상권이 돌아온 외국인 관광객과 함께 과거의 영광을 찾아가고 있다. 반대로 대형화된 상권과 줄어든 내수소비, 늘어난 대출이자 등은 중소형 상가 투자시장의 큰 걸림돌로 작용하는 모습이다.
12일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 3분기 명동 공실률은 2.3
부동산 시장 내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양극화 추세가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9일 현대경제연구원은 최근 발간한 '2024년 부동산 시장의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부동산 시장 회복은 수도권이 견인했다. 전국 주택매매 가격지수는 수도권 호조로 지난 9월 기준 전월 대비 0.18% 오르며 5개월 연속
마스턴투자운용은 리서치 조직 R&S(Research&Strategy)실 주관으로 서울 서초구 본사 대회의실에서 ‘2025년 한국 상업용 부동산 시장 전망 브리핑’을 진행했다고 2일 밝혔다. 마스턴투자운용 R&S실은 단기적으로 경기 침체와 올해 마곡 지역 대규모 오피스 공급 영향으로 연말 기준 서울 오피스 공실률이 4.7%까지 소폭 상승할 수 있으나, 장
올해 서울 오피스 시장은 수요에 비해 현저히 부족한 공급량을 등에 업고 임대인 우위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동시에 임대료도 상승 곡선을 그리며 비용 절감을 위해 사무실 이전을 고려하는 업체가 늘었다.
12일 글로벌 상업용 부동산 컨설팅업체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C&W) 코리아’에 따르면 3분기 서울 3대 오피스 권역 공실률은 3%대를 유지했다. YBD(
서울 오피스 공실률이 3분기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지만 여전히 자연 공실률(5%)보다 낮은 수준으로 강세를 보였다.
4일 상업용 부동산 종합 서비스 기업 알스퀘어가 발표한 ‘2024년 3분기 오피스 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3분기 서울 오피스 평균 공실률은 2.9%를 기록했다. 이는 전 분기 대비 0.3%포인트(p) 상승한 수치로 소폭이지만 3분기 연속
서울 강서구 마곡도시개발구역(CP)에 초대형 오피스가 차례로 준공되고 있다. 강남과 종로, 여의도 권역을 중심으로 성장을 거듭하던 서울 오피스 시장에 도전장을 내미는 모습이다. 마곡 권역이 기존 업무권역의 단점을 보완할 신흥 강자가 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는 가운데, 대규모 신규 오피스 공급에 따른 공실 위기를 피해야 한다는 숙제 또한 안고 있다.
31
올해 3분기 상업용 부동산 시장에선 오피스 상승세가 계속됐다. 반면 상가는 내림세를 이어갔다. 투자 수익률은 오피스와 상가 모두 전분기 대비 하락했다.
31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024년 3분기 상업용 부동산 임대동향조사’에 따르면 3분기 임대가격지수는 직전 분기 대비 오피스 기준 0.74% 상승으로 집계됐다. 상가(통합)는 0.07% 하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