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블럭스는 2 x 2 MIMO를 지원하는 와이파이 6와 듀얼 모드 블루투스 5.1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무선 모듈 ‘JODY-W3’ 시리즈를 25일 발표했다.
와이파이 6로 알려진 최신 IEEE 802.11ax 표준을 지원하는 JODY-W3는 차량에서 요구되는 무선 고속 연결의 증가하는 수요를 지원하기 위해 설계됐다.
여기에는 초고화질(UHD)
유블럭스는 최근 리가도(Rigado) 사의 블루투스 모듈 사업부문 인수를 통해 확보한 BMD 제품 시리즈를 확장해 BMD-341, BMD-345 및 BMD-360을 4일 발표했다.
이 제품군은 특수한 기능을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에 포괄적인 솔루션을 제공할 목적으로 설계됐다.
최신 블루투스 v5.1 사양을 충족하는 BMD-360 모듈은 블루투스
무선 통신 및 위치추적 모듈ㆍ칩 기업 유블럭스는 GNSS (글로벌위성항법시스템) 수신기의 누적 판매량이 5억 개를 돌파했다고 26일 밝혔다.
GNSS기반 위치추적은 전세계 어디에서나 절대 위치를 제공할 수 있는 유일한 기술이다. 소비가전, 산업 및 차량 등 광범위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또 다양한 기기들이 정확한 시간과 위치를 이용하여 효율
무선 통신과 위치추적 모듈 및 칩 기업인 유블럭스는 마커스 섀퍼(Markus Schaefer)를 글로벌 마케팅 및 영업 부문 총괄 부사장으로 임명했다고 2일 밝혔다다.
섀퍼 신임 총괄부사장은 전 소속 기업에서 시장 점유율을 신장시키며 탄탄한 실적을 기록한 반도체 분야의 베테랑으로 유블럭스의 경영진에 합류하게 됐다.
섀퍼 신임 부사장은 마케팅 및
무선 통신 및 위치추적 모듈 기업 유블럭스는 자산 양수도 계약을 통해 리가도의 블루투스 모듈 사업 부문을 인수했다고 1일 밝혔다.
리가도는 2015년부터 인증된 무선 통신 모듈을 시장에 공급해오고 있다.
이번 인수를 통해 유블럭스는 저전력 블루투스(BLE), 지그비(Zigbee) 및 스레드(Thread) 분야에서의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장할 수 있
자율주행차 시대에 꼭 필요한 항법 모듈이 한 단계 진화했다. 유블럭스는 관성 센서가 내장된 고정밀 멀티 밴드 GNSS(위성측위시스템) 모듈인 ZED-F9K를 23일 공개했다.
ZED-F9K는 GNSS 수신기 분야의 최신 기술과 신호 처리 알고리즘 및 보정 서비스를 통합한 제품이다. 수십 센티미터(1/10미터) 수준의 정밀도를 수초 내에 제공하며, A
위치추적 및 무선 통신 기술 업체 유블럭스는 Wi-Fi 802.11 b/g/n 연결 및 듀얼 모드 블루투스(BR/EDR & LE) 접속을 동시에 지원하는 멀티 라디오 및 게이트웨이 모듈 시리즈 ‘NINA-W15’를 20일 발표했다.
이 제품은 블루투스 저전력(LE) 및 블루투스BR/EDR에 대한 지원을 포함하고 있으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위치추적 및 무선 통신 기술 업체 유블럭스는 문화방송 MBC와 협업해 실시간 이동 측위 기기를 선보인다고 12일 밝혔다.
MBC는 유블럭스 ZED-F9P 고정밀 GNSS 모듈을 탑재한 초소형 L1/L2 멀티밴드 RTK(실시간 이동측위) 기기인 MRP-2000을 개발했다.
이 제품은 국내 최초로 GNSS RTK 수신기와 GNSS 보정 서비스를
유블럭스는 미국 이동통신 사업자인 T모바일이 미국 최초로 제공하는 NB-IoT(협대역 사물인터넷) 망에서 자사 LTE Cat NB1 SARA-N410 모듈을 인증했다고 25일 밝혔다.
16 x 26 mm의 초소형 모듈인 SARA-N410은 초저전력 소비 성능을 지원한다. 최적 비용으로 장기간 가동이 요구되는 수많은 IoT 애플리케이션들에 이상적인
유블럭스는 유트랙(u-track) 소프트웨어와 C030-R410M 애플리케이션 보드로 구성된 툴셋(toolset)을 10일 발표했다.
이 툴셋은 프로토타입 개발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제품 설계자가 LTE-M 및 NB-IoT(협대역 사물인터넷) 셀룰러 네트워크는 물론 GNSS (글로벌 위성항법시스템) 기술을 사용하는 무선 위치 추적 애플
유블럭스는 센티미터 수준까지 위치추적 정밀성을 요하는 애플리케이션에 특화된 멀티밴드 GNSS 안테나인 ANN-MB를 6일 발표했다.
ANN-MB 제품은 제품설계자에게 구현하기 쉽고 신뢰도 높은 멀티밴드 안테나 솔루션을 매력적인 가격대로 제공한다. ANN-MB 안테나 시리즈는 위성항법시스템(GNSS) 수신기용 고성능 안테나 분야에서 20년 넘게 활약
유블럭스 업계 최소형 V2X(차량대사물 통신) 무선통신 칩 UBX-P3을 출시했다고 11일 밝혔다.
회사 측은 "100% 자체 기술로 개발된 UBX-P3 칩은 차량의 사고를 미리 막아주는 미래 액티브 세이프티(active safety) 및 자율 주행 기술 상용화에 대한 유블럭스의 공헌을 보여주는 성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V2X기술은 교통
유블럭스는 최근 출시된 F9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강력한 고정밀 위치추적 기능을 제공하는 ZED-F9P GNSS 모듈을 출시했다고 30일 밝혔다.
이 제품엔 기계 제어, 무인 지상 차량 및 고정밀 무인 항공기(UAV)용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통합 멀티밴드 RTK기술이 구현됐다. 특히 지피에스(GPS), 글로나스(GLONASS), 갈릴레오(Galile
무선통신과 위치추적 모듈 글로벌 기업 유블럭스는 7일 신규 브랜드 아이덴티티(BI) 를 발표했다.
회사 측은 새로운 기업 아이덴티티(CI)에 대해 기존 핵심 요소들은 유지하면서, 기술 혁신에 대한 유블럭스의 공약과 시장에서의 독보적 위치를 강화하겠다는 의지가 표현됐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유블럭스는 창립 20주년을 맞이했다. 스위스 취리히 소재
소비가전·산업·자동차 시장을 대상으로 한 위치추적 및 무선 반도체 부문 기업인 유블럭스가 산업·자동차 분야용 고정밀 위치추적 솔루션인 ‘F9 기술 플랫폼’을 26일 발표했다.
유블럭스에 따르면 이 플랫폼은 멀티밴드 GNSS 기술, 추측항법, 고정밀 알고리즘 및 다양한 GNSS 보정 데이터 서비스 호환기술들을 결합해 센티미터 수준의 고정밀도를 구현한다
무선통신과 위치추적 모듈 및 칩 분야의 글로벌 기업 유블럭스는 다양한 사물인터넷(IoT) 애플리케이션에 적용가능한 SARA-R410모듈에 대해 AT&T사로부터 인증을 획득했다고 23일 밝혔다.
SARA-R410M은 AT&T사의 LTE-M 네트워크에 대한 인증을 받은 최초의 셀룰러 모듈이다.
쿼드 밴드 구성(B2/B4/B5/B12)을 채택한
유블럭스는 웨어러블 및 이동식 헬스케어 기기에 최적화된 위성항법수신(GNSS)칩 ‘UBX-M8230-CT’를 한국에 본격 공급한다고 18일 밝혔다.
회사 관계자는 "올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양산에 들어갔으며, 이를 한국의 헬스케어 및 웨어러블 기기 분야의 기업들에 공급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UBX-M8230-CT에는 'Super-E' 모드라는 기능
유블럭스는 웨어러블 애플리케이션용 UBX M8230 CT GNSS 수신 칩 솔루션을 출시한다고 24일 밝혔다.
새롭게 선보인 Super-E(Super Efficient) 모드는 전력 소비량을 기존의 1/3 수준인 20mW로 줄이면서도 정확도의 손실이 거의 없도록 위치를 매 초마다 업데이트해준다.
회사 측은 안테나가 작거나 지속적으로 위성 신호를 받을
위치추적 모듈 및 칩 제조 기업 유블럭스는 초소형 GNSS(위성항법시스템) 수신모듈 ZOE-M8G를 출시한다고 6일 밝혔다.
ZOE-M8G는 GPSㆍ갈릴레오ㆍ글로나스ㆍ베이두와 동시 연결로 탁월한 위치 정확도를 제공해 준다. 또 업계 최고 수준인 -167dBm의 내비게이션 감도까지 제공해 웨어러블 장치, 무인 항공기(UAV) 및 자산 추적 애플리케이션에
유블럭스는 중국 상하이에 위치한 심테크그룹 컴퍼니로부터 심컴의 셀룰러 모뎀 제품(SIMCom Wireless), 관련 특허 및 노하우, R&D 및 영업 인력 등을 인수한다고 25일 밝혔다. 거래 금액은 5250만 달러(613억 원)다.
회사 측은 "이번 인수합병은 셀룰러 제품 범위를 크게 확장시키고, 유블럭스를 세계적인 셀룰러 모듈 주요 공급업체로 발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