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계열사로 분산된 한화오션 지분을 매입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한화임팩트파트너스, 한화에너지 등 계열사들이 보유한 한화오션 지분 7.3%를 주당 5만7100원(종가 기준)에 취득한다고 10일 밝혔다.
취득 금액 규모는 1조3000억 원, 취득 예정일은 내달 13일이다. 이에 따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연결 기준 한화오션 지분율은 기존
지난 3개월간 대규모기업집단 소속회사가 79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 5년 기준, 계열 제외를 통한 기업집단의 몸집 줄이기 작업이 가장 활발히 이뤄졌다.
10일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1월까지 최근 3개월간 발생한 대규모기업집단(자산 5조 원 이상 공시대상기업집단)의 소속회사 변동 현황을 공개했다. 이 기간 대규모 기업집단
바이오노트, 씨티씨바이오 지분 약 6% 신규 취득SDB, 2대 주주 등극…최대주주 파마리서치와 맞손씨티씨바이오와 시너지 기대…경영 정상화 목표
씨티씨바이오와 파마리서치의 경영권 분쟁이 막을 내린 모양새다. 바이오노트가 씨티씨바이오의 지분을 취득하면서 특별 관계자인 에스디비인베스트먼트가 2대 주주로 올라섰다. 바이오노트가 파마리서치와 씨티씨바이오의 경영
MBK “SMC, 고려아연 지급보증으로 영풍 지분 취득”고려아연 “3년 전 채무보증 두고 무리한 주장”
MBK파트너스가 고려아연 호주 손자회사 선메탈코퍼레이션(SMC)의 영풍 지분 취득이 고려아연의 지급보증을 통한 차입금으로 이뤄졌다고 주장했다. 이에 고려아연 측은 3년 전 채무보증을 문제 삼으며 무리한 주장을 펼치고 있다고 반박했다.
MBK는 2일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은 23일 열린 고려아연 임시 주주총회와 관련해 “임시 주총 전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 측이 보유한 영풍 지분 10%를 기습적으로 고려아연 해외 손자회사로 넘긴 거래는 대한민국 국격을 추락시켰다”고 비판했다.
포럼은 31일 논평을 내고 “자본시장은 신뢰를 바탕으로 발전하고 투명성과 예측 가능성이 필수 조건으로, 이를 무시하고 파행적으로
이차전지 소재기업 피노가 지난해 매출액과 비슷한 규모의 연말 소재 공급 계약을 연이어 수주했다. 이와 함께 연초 초대형 소재 공급 계약을 달성함으로써 신에너지 사업 매출액은 전년 대비 대폭 증가할 전망이다.
6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피노가 지난해 12월과 올해 연초 수주한 3건의 계약을 합하면 전년(2023년) 대비 259.95% 규모다.
12월
코스닥 상장기업 아이엠이 첨단소재 제조장비 솔루션 기업 탑맥 지분을 취득하고 복합동박 사업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
아이엠은 정밀소재 생산을 위한 증착 및 도금 장비 전문기업 탑맥 지분 32%를 64억 원에 취득한다고 27일 밝혔다. 지분 취득 후 아이엠은 탑맥의 2대 주주 지위에 오른다.
이번 전략적 지분 투자는 상용화를 추진 중인 복합동박 사업 경
에너지 전문기업 에스엘에너지가 잠재적 최대주주가 로아홀딩스컴퍼니로 변경이 된 것을 확인했다고 19일 밝혔다.
에스엘에너지는 “추후 주주명부를 통해서 최대주주 변경을 최종 확인할 수 있다”며 “로아홀딩스는 기존 최대주주인 에스엘홀딩스의 우호지분으로 경영권 안정을 위해서 지분 취득을 한 것이 맞다”고 설명했다.
기존 최대주주였던 에스엘홀딩스는 38만74
DS투자증권은 12일 녹십자에 대해 미국 현지 혈액원 인수를 통한 혈액제제 알리글로의 매출 성장으로 내년 구조적 턴어라운드에 접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목표주가를 기존 18만5000원에서 20만 원으로 상향하고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김민정 DS투자증권 연구원은 “현재 면역글로불린(IVIG) 시장은 오프레벨(Off-label) 처방 확대로 공급
택스리펀드 기업 글로벌텍스프리(GTF)의 최대주주인 문양근 의장이 자사 주식을 장내 매수했다고 11일 밝혔다. 최대주주로서 최근 주가 하락으로 회사 가치가 지나치게 저평가돼 있다고 판단해 책임 의식과 함께 지분 확대로 기업 가치 제고 의지를 보여주는 동시에 향후 실적에 대한 자신감을 표명한 것이다.
GTF의 최대주주인 문양근 의장은 자사 주식 18만5
CTT리서치는 15일 현대퓨처넷에 대해 현대지에프홀딩스의 지주회사 체제 전환에 따른 지주회사 행위제한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 현대홈쇼핑이 공개매수를 통해 현대퓨처넷 지분 100%를 확보한 후 합병될 가능성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현대백화점그룹 지주사인 현대지에프홀딩스는 아래오 '현대홈쇼핑 – 현대퓨처넷 – 현대바이오랜드’로 이어지는 지배구조를 보유 중이다.
셀트리온,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스테키마’ 유럽 출시
셀트리온은 1일(현지시간) 독일에서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스테키마’(성분명 우스테키누맙)를 출시했다고 4일 밝혔다. 같은날 네덜란드에서도 스테키마를 출시, 현지법인을 통해 네덜란드의 대학병원 그룹 IZAAZ(Inkoopcombinatie Ziekenhuis Apotheken Academische
최근 3개월간 대기업집단(자산 5조 원 이상 공시대상기업집단) 계열사가 8개 감소했다. 에스케이, 한화 등은 경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분할·합병 등 사업 구조를 개편했다. 넷마블, 삼천리 등은 신산업 추진으로 사업 다각화를 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8일 이런 내용을 담은 대규모기업집단 소속 회사 변동현황(2024년 8월∼10월)을 발표했다. 88개 대
콜마홀딩스가 미국 행동주의 펀드의 지분 취득에 강세다. 7일 오후 2시 29분 기준 콜마홀딩스는 전일 대비 13.91%(1000원) 오른 8190원에 거래 중이다. 달튼인베스트먼트는 지난달 30일 기준 콜마홀딩스의 지분 보유 목적을 '단순 투자'로 밝히며 지분 5.02%를 보유하고 있다는 공시를 전날 발표했다. 이에 이를 적극적인 주주 환원 요구로 보는
휴온스가 바이오의약품 전문기업 팬젠을 인수하며 바이오의약품 연구개발(R&D) 및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에 나선다.
휴온스는 143억 원을 투자해 팬젠 주식 264만7378주를 취득한다고 5일 공시했다. 이날 이사회 결의를 통해 팬젠의 기존 최대주주인 CG인바이츠와 주식양수도계약을 체결, 구주 인수 및 제3자 배정 유상증자로 팬젠의 주식을 취득한다.
이연제약은 공동개발 파트너사 뉴라클사이언스가 최근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제17차 알츠하이머 임상학회(CTAD)에서 'NS101'의 연구성과를 포스터 발표했다고 4일 밝혔다.
NS101은 알츠하이머 치매를 포함한 시냅스병증 관련 질환에 대한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시하는 신약이다. 이번 학회에서는 알츠하이머 치매 동물 모델에서 NS101이 시냅스 형성
DH오토웨어는 최대주주의 특별관계자인 ‘DH정공’이 2대주주인 ‘스틱PE펀드’의 주식 1320만 주 (8.58%)를 블록딜(시간 외 대량 매매) 방식으로 취득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로써 최대주주 및 특별관계자의 지분은 50.82%(7822만 주)로 증가했다.
회사 관계자는 “중장기 사업전망에 대한 확신을 바탕으로 최대주주 측이 추가로 지분을 취득하게
동국제약이 리봄화장품을 307억 여원에 인수했다는 소식에 상승하고 있다.
16일 오후 2시 38분 현재 동국제약은 전 거래일보다 3.82% 오른 1만8490원에 거래되고 있다.
전날 장 마감 후 동국제약은 리봄화장품 주식 9만6600주를 306억6009만 원에 취득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이로써 동국제약은 리봄화장품 지분 53.66%를 확보하게
코스피는 지난 한 주(9월 30일~10월 4일)간 80.07p(3.02%) 내린 2569.71에 마감했다. 이 기간 외국인은 1조2701억 원, 기관은 1조1367억 원 순매도했고, 개인은 2조2455억 원 순매수했다.
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한 주간 유가증권시장에서 가장 많이 오른 종목은 인스코비로 31.75% 오른 1660원에 거래를 마쳤다.
금양이 약세다.
4일 오전 9시 56분 기준 금양은 전 거래일보다 4.28%(2200원) 내린 4만9200원에 거래 중이다.
금양은 지난달 30일과 2일에도 각각 7.43%, 1.72% 하락 마감했다.
한국거래소의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예고 소식이 주가를 떨어뜨린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거래소는 2일 장 마감 후 금양을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한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