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K투자증권은 상장지수펀드(ETF) 특화 투자솔루션 기업 ‘EPI 어드바이저’와 협업해 ‘IBKS EPI 글로벌자산배분 자문형 랩’을 출시했다고 18일 밝혔다.
IBKS EPI 글로벌자산배분 자문형 랩은 EPI 어드바이저의 글로벌 자산 배분 모델을 활용해 운용된다. 경제·시장 지표와 네 가지 핵심 변수(성장·물가·유동성·정책)를 분석하고 개별 자산
연기금투자풀 제도 개편 방안자산운용사 외 증권사도 주간운용사로 참여정부기금 외 공직유관단체도 투자풀 위탁허용달러 MMF·국내 ETF 도입 등 운용전략 다변화
정부가 공공기관 경영평가 내 비계량 평가를 통해 공공기관 여유자금의 연기금투자풀 위탁 확대를 추진한다. 국가채무가 증가하고 있는 제한적인 재정 여건에서 기금 여유자금 수익률을 높여 공공기관 재무 건전
안정적 투자 수단으로 각광받는 만기매칭형 ETF회사채ㆍ은행채 중심 투자로 수익성 담보투자 전 신용등급, 만기 구조 등 유의해야
경기 부진 우려가 지속하면서 안정적으로 확정 이익을 얻을 수 있는 만기매칭형 상장지수펀드(ETF)가 투자자의 주목을 받고 있다.
27일 코스콤 ETF 체크에 따르면 국내에서 현재 거래되고 있는 만기매칭형 ETF는 28개다.
키움투자자산운용은 14일 패시브 상장지수펀드(ETF) 브랜드 ‘KOSEF’와 액티브 ETF 브랜드 ‘히어로즈’를 ‘KIWOOM’으로 일괄 변경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기존 ‘KOSEF ETF’ 46개 종목과 ‘히어로즈 ETF’ 15개 종목은 이날부터 ‘KIWOOM ETF’로 이름을 바꾼다. 키움투자자산운용의 ETF 브랜드 개편은 이번이 처음으로,
하나증권은 은퇴를 앞둔 시니어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하나더넥스트 랩 시리즈’를 출시했다고 8일 밝혔다.
‘하나더넥스트 랩 시리즈’는 채권형 ETF 등 변동성 낮은 자산 중심 포트폴리오 구성으로 안정성을 높인 상품이다. 하나증권 고유의 AI알고리즘 기반으로 최적 투자 조합을 산출한다. 매월 분배금, 배당 발생이 예상되는 상장지수펀드(ETF) 등에 투자
메리츠증권은 국채 10년물에 투자하는 상장지수증권(ETN) 4개 종목과 30년물에 투자하는 ETN 4개 종목을 상장해 운용 중이다.
해당 상품은 국채 10년물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메리츠 국채10년 ETN △메리츠 레버리지 국채10년 ETN △메리츠 인버스 국채10년 ETN △메리츠 인버스2X 국채10년 ETN과 국채 3년 물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메리
NH-아문디(Amundi)자산운용은 'HANARO 머니마켓 액티브 ETF'가 초단기채권형 중 8월 월간수익률 1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7월 15일에 상장된 'HANARO 머니마켓 액티브 ETF'는 잔존 만기 5개월 이하의 초단기 자산에 투자해 금리변동 리스크를 최소화한다. 단기자금 운용 목적으로 출시된 상품으로, 상장지수펀드(ETF) 특성상 소액만으
키움투자자산운용은 2024년 상장지수펀드(ETF) 순자산총액(AUM) 증가액이 1조 원을 돌파했다고 29일 밝혔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키움투자자산운용이 운용하는 ETF의 합계 AUM은 27일 기준 3조7744억 원으로 지난해 말(2조7008억 원)보다 1조736억 원 늘었다.
이 기간 키움투자자산운용 AUM 증가율은 39.7%로, 국내 ETF 시
삼성자산운용은 ‘KODEX CD금리액티브 상장지수펀드(ETF)’의 개인 누적 순매수가 1조 원을 넘었다고 16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6월 상장 이후 14개월만으로, 금리·채권형 ETF 중 1위, 전체 ETF 중에는 6번째에 해당하는 규모다.
KODEX CD금리액티브 ETF는 개인투자자들의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상장 후 개인이 100억 원 이상 순
미래에셋자산운용은 ‘TIGER 미국투자등급회사채액티브(H) 상장지수펀드(ETF)’가 순자산 1000억 원을 돌파했다고 14일 밝혔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종가 기준 TIGER 미국투자등급회사채액티브(H) ETF 순자산은 1080억 원으로 집계됐다. 국내 상장된 해외 크레딧 중장기 채권형 ETF(채권을 60% 이상 편입하는 해외채권 ETF) 가운데
한국투자신탁운용은 미국 장기 국채에 투자하는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상장지수펀드(ETF)’의 순자산액이 1조5000억 원을 돌파했다고 7일 밝혔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ETF의 순자산액은 2일 1조5013억 원을 기록하며 처음으로 1조5000억 원을 돌파했다. 전일 종가 기준 해당 ETF의 순자산액은 1조53
9월 기준금리 임박 소식…채권관련 투자 상품 쌈짓돈 몰려국내 채권형 펀드 설정액 57.6조…한 달만 3.2조↑채권형 ETF 순자산도 증가 추세…채권형 ETN 비중↑일각선 트럼프 발 채권금리 상승 가능성…"대세론 막기 어려워"
미국 금융시장에서 9월 기준금리 인하 확률이 사실상 100%까지 치솟으면서 채권형 펀드·상장지수펀드(ETF)·상장지수증권(ETN
올해 국내 투자자들의 해외 상장지수펀드(ETF) 편입 비중이 지난해보다 대폭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키움증권은 자사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분석 결과 지난달 말 기준 중개형 ISA계좌 내 국내상장 해외 ETF 편입 비중은 27%로 전년 대비 14%포인트 증가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같은 기간 국내 ETF 편입 비중은 6%로 전년 대비 1
한국투자신탁운용은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상장지수펀드(ETF)’의 연초 이후 개인 순매수액이 3000억 원을 돌파했다고 9일 밝혔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기준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ETF의 연초 이후 개인투자자 누적 순매수액은 3077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금리인하에 대한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5억 이상 자산가의 하반기 포트폴리오는…‘주식 60%·채권 40%’
삼성증권 조사…응답자 42% ‘국내 주식’ 유망 투자처로
가장 선호 하는 채권 만기 1~3년…절세 계좌엔 ETF 담기
금융자산 5억 원 이상을 보유한 자산가들은 올해 하반기 주식, 채권 포트폴리오로 ‘6대 4’ 비중을 이상적으로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증권 디지털자산관리본
신한자산운용은 최근 상장한 5개 상품의 인기에 힘입어 ‘SOL 월배당 상장지수펀드(ETF)’ 시리즈 순자산이 1조 원을 넘겼다고 27일 밝혔다.
신한자산운용은 국내 ETF 최초 월배당 ETF인 ‘SOL 미국S&P500’ 를 상장하고 한국판 슈왑 US 디비던드 에퀴티(SCHD)로 불리는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환헤지형 배당 상품 ‘SOL 미국배당
KB자산운용이 네 번째 만기매칭 채권형 상장지수펀드(ETF)를 출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날 상장하는 ‘KBSTAR 25-06은행채(AA+이상)액티브 ETF’는 내년 6월 만기인 신용등급 ‘AA+’ 이상 국내 은행채에 분산 투자하는 ETF다.
출시일 기준 연 3.57% 수준의 만기 보유 수익률(보수 차감 전)이 예상되며, 최근 높아진 금리 상황에
한국투자신탁운용은 ‘ACE 글로벌인컴TOP10 SOLACTIVE 상장지수펀드(ETF)’의 연간 분배율이 멀티에셋 ETF 상품 중 1위를 기록했다고 4일 밝혔다.
코스콤 ETF CHECK에 따르면 전날 종가 기준 이 ETF의 연간 분배율은 6.34%로, 국내 상장된 배당형 멀티에셋 ETF 20개 상품 중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 ETF는 지
한국투자신탁운용은 최근 1년간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상장지수펀드(ETF)’ 개인투자자 순매수 금액이 국내 채권형 ETF 중 가장 많았다고 30일 밝혔다.
코스콤 ETF CHECK에 따르면, 29일 종가 기준 최근 1년간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ETF에 유입된 개인 순매수액은 5065억 원으로 집계됐다.
레버리지와 인버스 상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