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콧 모리슨 호주 재무장관이 맬컴 턴불 총리의 뒤를 이어 신임 호주 총리직에 오른다. 2차례에 걸친 당 대표 선출 투표 끝에 턴불 총리는 자리에서 물러나게 됐다.
24일(현지시간) 교도통신과 CNN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모리슨 장관은 이날 시행된 집권 자유당 신임 지도자 선출 투표에서 45표를 얻어 승리했다. 상대 후보였던 피터 더튼 전 내무장관은 40
문재인 대통령은 8일 오후(현지시간) 인도 뉴델리에 팔람 군 비행장에 도착해 3박 4일간의 인도 국빈방문 일정을 돌입했다.
첫 일정으로 문 대통령 내외는 이날 오후 뉴델리에 도착한 후 ‘악샤르담(Akshardham) 힌두사원’을 방문했다. 악샤르담 힌두사원은 ‘델리 악샤르담’ 또는 사원 단지의 대표 건축물인 ‘스와미나라얀(Swaminarayan)’을
중국과의 무역 전쟁 시동을 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복귀 검토를 지시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12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래리 커들로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에게 TPP 재가입 가능성을 검토하라고 지시했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수입 철강 및 알루미늄 관세가 23일(현지시간) 발효됐다. 한국을 포함한 미국의 주요 철강 수입국들은 다양한 전략으로 관세 대상에서 제외됐다. 대상에 포함된 일본은 유감을 나타냈다.
이날 미국 행정부는 한국과 유럽연합(EU), 호주, 브라질, 캐나다, 멕시코, 아르헨티나를 관세 부과 대상에서 일시적으로 제외한다고 밝히면서 트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고율 관세 부과 발효를 열흘 가량 앞두고 일본과 유럽연합(EU)이 적용 제외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10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해 달라고 요구한 일본과 EU에 강경한 자세를 보였다. 이날 트럼프는 트위터에 “EU는 철강·알루미늄 관세 조치에 대해 불평하고 있다”며
일본과 유럽연합(EU)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한 관세에 예외를 적용받고자 나섰지만 첫 시도는 사실상 실패로 끝났다.
10일(현지시간)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벨기에 브뤼셀에서 이날 열린 미국과 일본, EU의 통상담당 고위 관료 회의에서 일본과 EU 측은 미국에 면제를 강력히 요구했지만 별다른 반응을 얻지는 못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철강과 알루미늄 수입품에 대한 관세 부과 명령에 서명한 지 하루 만에 호주를 제외할 방침이다. 이에 다른 국가도 관세 발효에 앞서 캐나다, 멕시코와 호주처럼 면제를 인정받기 위해 총력전을 벌일 전망이다.
9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맬컴 턴불 호주 총리와 전화 회담을 마치고 나서 트위터에 “턴불
8일 칠레 산티아고에서 일본, 호주, 캐나다 등 11개국 통상장관들이 모여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에 서명한다. 작년 1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다자간 무역협정은 미국 노동자들의 일자리를 빼앗아간다”며 협정 탈퇴를 선언한 지 14개월 만의 일이다. 미국의 탈퇴로 당초보다 규모가 쪼그라들었지만 여전히 CPTPP는 세계 국내총생산
일본과 캐나다 호주 등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에 참가하는 11개국이 ‘TPP11’ 서명을 앞두고 긴장하고 있다. 역내 자유무역을 촉진하는 협정에 환호와 기쁨이 앞서는 대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어떤 훼방을 놓을지 우려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6일(현지시간)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맬컴 턴불 호주 총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대북 제재가 매우 거친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는 대북 군사행동을 의미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CNBC에 따르면 맬컴 턴불 호주 총리와 정상회담 뒤 기자회견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에 대한 제재가 핵미사일 프로그램을 저지하지 못할 시에는 다음 단계로 넘어가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호주가 ‘차이나 머니’에 대한 두려움 탓에 외국인에 빗장을 걸고 있다. 경제와 정치 및 사회 전반에서 중국의 영향력이 커지자 외국인 투자 규제를 강화하기로 했다.
스콧 모리슨 호주 재무장관은 1일(현지시간) “앞으로 송전·배전망과 같은 전기 인프라의 매각과 일부 발전 자산의 외국인 소유를 제한할 것”이라고 밝혔다. 모리슨 장관은 전기 인프라에 대한 신규
탈(脫)원전·탈석탄 정책이 시행되면 즉각 대응이 가능한 액화천연가스(LNG) 발전 비중 확대가 확실시되지만 향후 천연가스 가격이 오를 경우 세계 2위 LNG 도입국인 우리나라에 직격탄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문재인 대통령은 독일 함부르크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이틀째인 8일(현지시간) 말콤 턴불 호주 총리와 양자 정상회담을 갖고 한국의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성공으로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에 대한 우려가 고조되고 있지만 이번 주요 20개국 (G20)정상회의 공동성명에 이에 대한 우려가 언급되지 않았다. 이 배경에는 중국과 러시아의 반대가 있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호주 일간지 ‘더 웨스트 오스트레일리언’은 독일 함부르크에서 8일(현지시간) 폐막한 G20 회의에
문재인 대통령은 8일(현지시간) 오전 독일 함부르크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장인 메세홀에서 말콤 턴불 호주 총리와 정상회담을 했다. 이날 회담에서 양국 간 글로벌 파트너십 강화, 북핵문제 해결 및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한 협력, 한·호주 우호관계 발전 방안, 한국의 탈원전 정책에 따른 LNG(액화천연가스) 수급 문제 등을 논의했다.
먼저 문 대통령은
독일서 20개국 정상들과 4박6일 외교戰
대북 관련 국제사회 제재 공조 이끌어내야
오늘밤 메르켈 시작으로 ‘연쇄 정상회담’
한반도 영구 평화체제 ‘新베를린 선언’ 예고
4박6일간 일정으로 진행되는 이번 독일 방문은 문재인 대통령 취임 이후 두 번째 해외 순방이다. 문재인 정부의 정상외교가 2라운드에 돌입한 셈이다. 특히 세계 최강국인 미국에 이어
문재인 대통령은 인도태평양지역 핵심 파트너인 인도와 호주에 정동채 전 문화체육부 장관을 대통령 특사로 파견하기로 했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14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정 전 장관을 인도·호주 특사로 파견하기로 하고 15일 출발할 계획이다”며 “정 특사는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맬컴 턴불 호주 총리를 만나 우리 정부의 정책과 비전을 설명하고 문 대
문재인 대통령은 말콤 턴불 호주 총리와 12일 첫 전화통화를 하고 보호무역주의 확산을 함께 극복하는 데 힘을 모으기로 했다.
이날 오후 2시 반부터 약 20분 동안 진행된 전화회담에서 두 정상은 양국 관계의 발전 방향, 북한 핵문제 등 상호 관심사를 논의했으며 특히 보호무역주의 확산을 극복하는 데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청와대가 밝혔다.
문 대통령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직후 전화로 막말을 던진 맬컴 턴불 호주 총리와 첫 대면을 했다. 당시 ‘최악의 통화’를 나눴다고 비난했던 것과는 달리 “호주를 사랑한다”면서 논란의 원인은 ‘가짜뉴스’에 있다며 비난의 화살을 언론으로 돌렸다.
트럼프 대통령은 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맨해튼 앞바다에 퇴역 항공모함을 활용해 만들어진 ‘USS 인트레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이 시드니에서 맬컴 턴불 호주 총리와 회담 후 22일(현지시간) 공동 기자회견을 하면서 대북 압박 발언을 했다.
가디언의 보도에 따르면 펜스 부통령은 “중국이 핵무기 프로그램을 포기하도록 북한과 협상을 하지 못하면 미국과 동맹국들이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군사 행동을 포함한 모든 옵션을 테이블에 올려놓고 있다”며 “중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이 오는 4월 한국과 호주 일본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4개국을 순방할 예정이라고 14일(현지시간) 싱가포르 스트레이츠타임스(ST)가 보도했다.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이 이번 주 한국과 중국, 일본 등 동북아시아 3개국을 방문하는 데 이어 부통령도 아시아를 찾는 것이다. 또 미국 언론들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시진핑 중국 국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