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 해제로 잠삼대청(송파구 잠실동, 강남구 삼성·대치·청담동) 일대 주요 단지 집값이 들썩일 것으로 전망된다. 투자 목적의 가수요가 늘면서 가격을 밀어 올릴 것이 유력하다는 이유다. 규제 해제가 불발된 압여목성(압구정·여의도·성수·목동)과 재건축 단지 일부에선 형평성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12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부동산
'잠삼대청'(잠실·삼성·대치·청담동)이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해제된다. 신속통합기획 사업지 일부도 토지거래허가제에서 풀린다. 다만 재건축 안전진단을 통과했거나 투기 우려가 있는 곳은 구역 지정이 유지된다.
12일 서울시는 투기 우려가 적은 지역을 대상으로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를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토지거래허가구역은 광범위하게 지정되거나 이미
반포, 압구정 등과 함께 서울 재건축 최대어 중 하나로 불리는 성수전략정비구역이 한강을 사이에 두고 정비계획을 수정해야 할 상황에 놓였다. 조합원 사이에선 사업 지연에 대한 우려가 고개를 드는 데 반해 재개발 ‘막차’라는 기대감이 반영되며 가격 오름세가 가파른 모습이다. ’
12일 도시정비업계에 따르면 성수전략정비지구 1~4구역 재건축 조합은 한강청의
”매도인이 매물을 내놓으려고 오자마자 빠지는 일도 허다해요. 재건축 확정 이후로 처음 봐요”(목동신시가지 공인중개사)
지난해 하반기부터 시작된 고강도 대출규제에 서울 아파트 거래시장이 꽁꽁 얼어붙었다. 지난해 12월 거래량은 3106건으로 하반기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올 1월 아파트 매매 신고는 현재 진행 중이나, 이 흐름대로라면 3000건 아래로
서울시가 '토허제(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를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에 부동산 시장이 요동치고 있습니다. 해제가 점쳐지는 한 지역은 매수 문의가 이어지고 있는데요.
토허제 해제 영향과 부작용에 대해 김인만 소장과 자세히 파헤쳐 봤습니다. 자세한 내용을 부동산 전문가들, 머리를 맞대다 '집땅지성'에서 확인해 보세요.
■ 진행 : 월천대사 이주현(월천
하남시는 ‘국토교통부 공고 제2024-1506호’에 따라 10일부터 감일동, 감북동, 초이동, 감이동이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해제된다고 7일 밝혔다. 국토부가 8월 발표한 ‘국민주거 안정을 위한 주택공급 확대 방안’에 따른 조치다.
8월 13일부터 12월 31일까지 △감북동 전체 지역(2.84㎢) △감일 공공주택지구에서 제외된 감일동(1.45㎢)·감이동(
다음 달 서울 그린벨트 해제 지역이 베일을 벗는 가운데 토지거래량이 우상향 그래프를 그리고 있다. 해제 유력 지역에 투기 수요가 대거 몰리며 기획부동산 세력의 조직적 지분 쪼개기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14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토지 거래량은 1만3739필지로 전년 동기(9341필지) 대비 47% 급증했다. 월별 토지
전문가들은 이번 8·8 주택공급대책이 장기 공급 정책으로는 우수하지만, 단기적으론 비(非)아파트 공급에 집중된 만큼 현행 아파트 중심의 시장 상황에선 효과가 없다고 입을 모았다. 이에 시장 내 아파트 매물 출현을 위한 다주택자 세제 완화와 노후 신도시 재건축 사업 속도 가속화 등 아파트 공급을 확대를 위한 추가 보완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주를 이뤘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9일 "저출생 대책의 핵심은 주거 문제"라며 "꾸준하고 지속적인 주택 공급을 위해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을 일부 해제하는 것은 필요하다"고 밝혔다.
최근 서울 강남3구 등을 중심으로 신고가가 나오는 현상에 대해선 "신고가 지역 동향을 예의주시 할 것"이라며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지정을 포함한 '플랜B'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시가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을 해제하고 신혼부부 등 미래세대를 위한 주택 공급을 늘린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9일 오전 서울시청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전날 정부가 발표한 ‘주택공급 확대방안’ 관련 세부계획을 발표했다.
우선 개발제한구역 일부를 해제하고 신혼부부 주택공급을 확대한다. 해제지역에 공급될 주택은 서울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신혼 20년 전
"거래만 줄고 가격 영향 없어 해지 바람직"반대로 "투기 방지 위해 유지 필요" 견해도
'잠삼대청(송파구 잠실동, 강남구 삼성·청담·대치동)'의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이 다시 한번 연장됐다. 이들 지역 내에서는 실망스럽단 분위기가 감지된다. 전문가 의견은 엇갈린다. 한쪽에선 현대자동차그룹 GBC 개발 등 굵직한 이슈가 안정되기 전까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서울 송파구 잠실동과 강남구 삼성동, 청담동, 대치동의 아파트가 아닌 주택과 토지가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제외된다.
15일 서울시는 제18차 도시계획위원회를 열고 국제교류복합지구 인근 4개 동에 대해 토지거래 허가를 받아야 할 대상을 아파트 용도로 한정해 조정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토지거래허가구역은 16일 공고해 즉시 효력을 발휘한다.
서울시는 부동산
부동산 거래를 강제로 막는 건 개인의 재산권 침해다. 또 거래가 줄어드는 건 공인중개사 생계 문제로도 연결된다. 이제는 규제를 해제해야 한다.(서울 송파구 잠실동 A공인중개사무소 관계자)
서울 송파구 잠실동 일대가 이달 말 토지거래허가구역 만료를 앞둔 가운데 주요 단지들과 지자체에서 재지정을 반대하는 분위기가 번지고 있다. 주민들은 구역 지정 해제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