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L D&I한라(HL디앤아이한라)는 에피트의 디자인 5건이 '2025 아시아 디자인 프라이즈(Asia Design Prize, 이하 ADP)'에서 공간‧건축 부문 수상작으로 선정됐다고 7일 밝혔다.
‘ADP’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국제 디자인 공모전으로 올해 총 22개국의 1879개의 디자인이 출품됐으며 산업디자인, 공간‧건축, 커뮤니케이션 3개 분
GS건설은 '평촌자이 퍼스니티'의 일반분양 물량 570가구가 정당계약을 시작한 지 한 달도 되지 않아 모든 계약을 완료했다고 7일 밝혔다.
평촌자이 퍼스니티는 지난해 안양에서 분양한 단지 중 가장 많은 청약이 접수됐고 1순위 평균 경쟁률은 13.11대 1을 기록했다. 최고 경쟁률은 33.4대 1이었다.
안양 내 선호도가 높은 입지인 데다 총 2737
롯데건설은 이달 28일 오후 2시 용산구 선인중앙교회에서 열린 용산 산호아파트 주택재건축정비사업 시공자 선정 총회에서 시공사로 선정됐다고 30일 밝혔다.
올해 3월 사업시행인가를 받은 용산 산호아파트는 서울 용산구 원효로 4가 118-16 일원에 지하 3층~지상 35층, 7개 동, 647가구(임대 73가구 포함) 및 부대복리시설을 새롭게 조성하는 사
현대건설과 삼성물산이 서울 강북권 도시정비사업 대어인 '한남 4구역'을 잡기 위한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현대건설은 곡선미를 살린 외관과 한강 변 최대 길이의 스카이 브릿지, 높은 천장고와 창호를 통한 개방감을 무기로 내세웠다. 삼성물산은 나선형과 같은 독특한 외관과 서울시청 잔디광장 5배 규모의 녹지, 자유로운 주거공간 구성 등으로 맞서고 있다
서울 영등포구 문래동 1가에 18층 높이의 지식산업센터가 들어선다. 주변으로 공원도 조성돼 충분한 녹지공간을 제공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제16차 도시계획위원회를 개최하고 문래동 1가 A 도시정비형 재개발구역 8, 11지구 정비계획 결정(변경)(안)을 수정가결 했다고 5일 밝혔다.
문래동 1가 A구역은 2013년 대규모 전면철거형 방식으로 최초 정비구
현대건설이 '신반포2차 아파트', '마장세림' 재건축정비사업을 수주하며 올해 도시정비사업 수주액 6조 원을 돌파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신반포2차 아파트 재건축정비조합과 마장세림 재건축정비조합은 각각 시공사 선정을 위한 총회를 개최하고 우선협상대상자인 현대건설의 단독 입찰에 대한 조합원 찬반투표를 진행해 현대건설을 최종 시공사로 선정했다.
신반포2
한화 건설부문은 자사의 주거 브랜드 ‘한화포레나’가 부동산 정보 플랫폼 부동산R114가 발표한 ‘2024년 베스트 아파트 브랜드’ TOP7에 선정됐다고 13일 밝혔다.
2019년 런칭한 한화포레나는 한화 건설부문이 짓는 아파트, 주상복합, 오피스텔에 적용되는 단일 주거 브랜드다. 서울과 수도권 및 대도시 거점지역 분양 및 노출빈도 확대를 통해 브랜드
서울의 대표적인 낙후지역인 창신동 일대가 신속통합기획을 통해 약 6400가구 규모의 대규모 주거단지로 탈바꿈한다.
서울시는 창신동 23-606(옛 창신9구역)과 629(옛 창신10구역) 일대를 신속통합기획 신규 대상지로 확정하고 지난해 확정된 창신동 23-2‧숭인동 56-4 일대를 포함한 총 4개소, 약 34만㎡에 대한 통합개발 계획을 발표했다고 13
두 번째 시립도서관 ‘김병주도서관’ 착공식 개최300억 기부한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 이름 따서울시, 2032년까지 권역별 시립 도서관 추가로
서울시가 두 번째 시립도서관 ‘김병주도서관’의 첫 삽을 떴다. 이는 서울시가 지역 간 정보격차 해소를 위해 추진 중인 ‘권역별 도서관 건립 프로젝트’의 첫 신호탄으로 2027년 문을 열 예정이다.
서울시는
서울 지하철 1호선 석수역 역세권 일대에 최고 25층 높이의 공동주택 200가구가 지어진다.
서울시는 제15차 건축위원회에서 '대도연립 소규모주택재건축사업'을 건축심의를 통과시켰다고 11일 밝혔다.
지하철 1호선 석수역 인근에 위치한 시흥동 대도연립 소규모재건축사업(금천구 시흥동)은 2개 동 지하 3층~지상 25층 규모로 공동주택 200가구와 부
서울시가 재개발 재건축 사업성을 개선하기 위해 용적률을 높인다. 노후 과밀주거지역 정비가 가능하도록 종 세분화 이전에 적용된 현황용적률도 인정한다. 정비사업의 걸림돌이 되는 공공기여 부담은 낮춘다. 이를 통해 정비사업이 활발해지고 속도도 빨라질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시는 제12차 도시계획위원회를 열고 '2030 서울특별시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주거
서울시가 정비사업의 사업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업성 보정계수를 도입하고 공공기여율을 낮춘다.
서울시는 제12차 도시계획위원회를 열고 '2030 서울특별시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주거환경정비사업 부문)' 재정비안을 수정 가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에 수정 가결된 기본계획은 정비사업 활성화를 통한 안정적 주택공급, 도시 매력을 높이기 위한 주거공간
대우건설은 서울 마포구 성산동 일원에 위치한 ‘마포 성산 모아타운 1구역’의 시공사로 선정됐다고 22일 밝혔다.
마포 성산 모아타운 1구역 사업은 16만665.12㎡의 부지에 지하 5층~지상 29층 6개 동, 557가구 규모의 공동주택과 부대복리시설을 신축하는 사업으로, 총 공사 금액은 1972억 원 규모다.
모아타운은 소규모주택정비 관리지역을 뜻
서울 성북구 정릉동과 강동구 암사동 일대에 모아주택 총 408가구가 들어선다.
서울시는 제11차 소규모주택정비 통합심의 소위원회를 열고 성북구 정릉동 218-1일대 등 총 2건의 통합심의를 통과시켰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심의에 통과된 안건은 △성북구 정릉동 218-1일대 모아주택 △강동구 암사동 495 일대 모아주택으로, 양질의 주택 총 408
두산건설이 독창적인 정체성을 보여주기 위해 '위브'(We've)와 '제니스'(Zenith)의 패턴을 개발해 디자인 등록을 완료했다고 24일 밝혔다.
위브 패턴은 실이 엮여 하나의 조직이 되듯이 위브의 다섯 가지 키워드가 엮여 위브만의 주거문화를 만들고자 하는 의미를 담았다. 위브의 W를 형상화했으며 이를 반복적으로 엮어 패턴을 완성했다.
제니스 패턴
서울시가 향후 5년간 정비사업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기본계획'을 손봤다. 2015년 ‘2025 기본계획’ 수립 후 10여 년 만이다. 사업성 보정계수, 현황용적률 인정 등 사업성을 개선해 안정적인 주택공급을 촉진하고 '주거 안정과 주거만족 실현 도시'를 조성한다.
서울시는 사업성 부족으로 추진이 안 되거나 더딘 정비사업을 활성화하고 최신 사회·제도적
다음 달 말부터 지방자치단체가 불법건축물에 부과하는 이행강제금을 최대 75%까지 깎아줄 수 있게 된다.
6일 업계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최근 위반건축물에 대한 이행강제금 감경 비율을 최대 50%에서 75%로 확대하는 내용의 건축법 시행령 개정안을 입법 예고했다. 다음 달 27일부터 위반 건축물 소유주의 이행강제금 부담을 완화한 개정 건축법이 시행되는
하이엔드 브랜드 홍수 속에도 삼성물산 건설부문과 GS건설은 기존 주택 브랜드로 승부하고 있다. 대신 최근 강남권이나 한강변 단지에 펫네임(Pet name)을 붙이면서 차별화를 꾀하는 분위기다.
28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최근 서울 서초구 신반포15차 재건축 아파트가 서초구청에 분양가 심사를 신청한 가운데, 역대 분양가상한제 지역 분양가 중 최고가가 나올
지방공기업의 특정업체 특혜 제공, 쪼개기 수의계약 등 위법‧부적정 업무처리가 80건이나 적발됐다. 정부는 위법행위에 대한 고발과 보상비 과다집행 등 77억 원을 환수 및 감액 조치한다.
국무조정실 정부합동 부패예방추진단은 행정안전부와 합동으로 2023년 8월부터 12월까지 부산도시공사, 대전도시공사, 대구도시개발공사, 강원개발공사, 광주광역시도시공사 등
삼성물산 건설부문(이하 삼성물산)이 아시아 최대 규모 국제디자인 시상식에 조경상품 2개를 출품에 동시 수상하는 쾌거를 안았다.
4일 삼성물산은 아시아 디자인 프라이즈 2024(Asia Design Prize) 공간·건축(Space·Architecture)부문에서 '가든 베일리'와 '그린 캐스케이드' 2개의 출품작이 각각 Grand Prize(대상)와 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