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해운의 법정관리행이 사실상 결정되면서 현대상선과의 합병설이 떠오르고 있지만,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게 금융당국과 채권단의 판단이다. 청산 과정에서 일부 사업을 현대상선이 인수할 수도 있지만 알짜 자산 대부분 매각된 상태라 채산성이 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한진해운이 31일 오전 이사회를 통해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결정하면 법원의 판단에 따라 청산이나
임종룡 금융위원회 위원장은 30일 한진해운과 현대상선의 합병 가능성에 대해 “현재 상황에서는 가능하지 않다”며 한진해운과 현대상선의 합병에 부정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임 위원장은 이날 경기도 성남시 분당 금융결제원에서 열린 은행권 공동 오픈플랫폼 개통식 행사에 참석한 자리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 같이 말했다.
KDB산업은행 등 채권단은 이날 만장일치로 신
“(언론) 정부, 한진해운-현대상선 합병한다(10월 27일)”
“(업계) 그런 검토 한 적 없다(10월 28일)”
“(정부) 한진해운-현대상선 강제 합병 추진(11월 9일)”
“(해수부) 양사 체제 검토 및 선사 매각 등 대책 발표한 적 없다(11월 9일)”
“(금융위) 자발적 또는 강제합병 추진한 적 없다(11월 9일)”
“(언론) 현대그룹, 현대상선 경
정부가 한진해운과 현대상선의 합병을 제안했다는 시장의 관측에 대해 금융당국은 부인했다.
정찬우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6일 이투데이 기자와 만난 자리에서 “정부는 한진해운과 현대상선에 합병하라고 말한 적이 없다”고 확인했다.
앞서 정부가 두 해운사에 합병의사를 타진했다는 보도가 있었다. 불황에 빠진 해운산업 재편을 위해 업계 1, 2위인 한진해운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