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식품업계가 동남아, 중동 등 할랄(Halal)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전 세계 식품 시장의 4분의 1에 해당하는 약 19억 명의 무슬림 소비자들을 잡기 위해 적극 나서는 모습이다. 현지에 공장을 세우거나 사실상 필수 사항인 이슬람 율법에 따른 ‘할랄 인증’을 얻기 위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21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인니는 수입·유통 되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는 23~26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개최된 ‘2024 자카르타 FHI 국제식품박람회(Food & Hotel Indonesia 2024)’에 참가해 총 1443만 달러의 수출상담 실적을 거뒀다고 30일 밝혔다.
FHI 박람회는 인도네시아 최대 규모의 국제 식품 박람회로 전 세계 총 30여개 국가와 700개 이상의 수출업체의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는 11~14일 인도네시아 수도 자카르타에서 ‘K-푸드 페어’ 행사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올해 10월부터 시행되는 인도네시아 할랄 인증 의무화에 대비하고, 현지 무슬림 소비자들에게 K-할랄푸드의 우수성을 대대적으로 홍보하기 위해 마련됐다.
우선 11~12일에는 수출상담회를 열어 K-푸드 수출업체
벤처기업협회 제주지회는 24일 소닉이엔엠코리아와 제주 벤처기업 아랍국가 진출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양측은 △제주 벤처기업 아랍국가 공동 홍보 마케팅 △제주 벤처기업 아랍국가 현지 유통채널 및 바이어 확보를 위한 네트워크 구축 △해외 전시회 개최 및 제주 우수제품 해외 진출을 위한 물적·인적 자원 교류
해외 매장 수 500호점 돌파하며 ‘순항’‘할랄 인증’ 말레이시아 공장 전초기지로
중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해외 판로를 확장하고 있는 SPC그룹 파리바게뜨가 이번엔 2조 달러(한화 약 2709조 원) 규모 할랄 푸드(이슬람교도 식품) 시장을 공략한다. 말레이시아 조호르바루에 건설 중인 할랄 인증 공장을 중동 시장 진출을 위한 전초 기지로 삼을 예정이다.
올해 7월까지 국내 라면 수출액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K콘텐츠 인기에 해외 소비자들의 라면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현지 입맛을 고려한 신제품 내놓은 라면업체들의 전략이 통한 결과로 풀이된다. 국내 라면업계는 한국산 라면 출시 60년을 맞아 적극적인 해외시장 공략으로 성장세를 이거간다는 방침이다.
3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와 관세청에 따르면
국내 밀키트 떡볶이 전문기업 추억의 국민학교 떡볶이는 할랄 인증 기관인 한국이슬람중앙회로부터 상온 컵 떡볶이와 팬 떡볶이 6종에 대한 ‘KMF 할랄(Halal) 인증’을 획득했다고 15일 밝혔다.
‘할랄 인증’은 이슬람 율법에 따라 허용된 것을 뜻한다. 엄격한 규칙에 의해 제조된 식품에만 부여되는 인증 마크다. 할랄 인증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안전성 관련
지앤푸드가 운영하는 오븐 요리 프랜차이즈 굽네가 작년 할랄 인증을 획득한 데 이어 할랄 제품을 지속 생산하며 동남아시아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22일 밝혔다.
할랄이란 이슬란 율법에 따라 만들어진 식품을 인증하는 제도다. 다이나 스탠다드 리서치가 발간한 ‘2020~2021 글로벌 이슬람 경제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세계 할랄 푸드 시장 규
게임, 엔터테인먼트 등 한류 문화 산업을 통해 우리나라가 사우디아라비아 오일 머니 유치 등 경제 협력을 강화한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0일 칼리드 알팔레 사우디 투자부 장관과 면담을 하고 양국 간 투자 확대 및 경제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두 나라 장관은 장관은 글로벌 불안정성이 확산하는 상황에서 올해 수교 60주년을 맞이해 한국과 사우디 간
국내 베이커리 업체들이 해외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K팝과 K무비 등 한국 문화의 세계적 유행에 힘입어 K푸드의 위상이 높아지면서다.
하지만 K베이커리의 약진 배경에는 국내 시장의 출점 규제가 자리잡고 있다. 2013년 동반성장위원회는 골목상권 보호 명목으로 제과점업을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지정하면서 대기업과 중견기업 베이커리는 인근 동네 빵집과 도
SPC그룹 베이커리 브랜드인 파리바게뜨가 8번째 해외 진출 국가로 말레이시아를 낙점했다. 이슬람 국가인 말레이시아에 진출함으로써 2500조 원에 달하는 세계 할랄푸드 시장을 공략한다는 계획이다.
파리바게뜨는 말레이시아 시장에 진출한다고 20일 밝혔다. 말레이시아는 SPC그룹의 8번째 해외 진출국이다.
SPC그룹은 말레이시아 제2의 도시인 조호르바루에 할랄
GS25가 이색먹거리를 찾는 밀레니얼 세대를 겨냥해 할랄푸드 '치킨플래터'를 처음으로 선보인다고 11일 밝혔다. 뉴욕 유명 스트릿푸드 '할랄가이즈'와 협력을 통해 국제할랄인증지원센터에서 할랄인증까지 받은 제품으로 할랄가이즈의 원재료를 그대로 살렸다.
‘할랄가이즈 치킨플래터’는 할랄가이즈 한국 직영점에서 사용하고 있는 원재료를 넣어 매장 메뉴와 100% 같
K푸드가 '할랄 마크'를 달고 동남아시아, 중동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할랄푸드 시장이 몸집을 불리면서 할랄 인증을 받는 식품이 늘고 있다. 다이나 스탠다드 리서치가 발간한 '2020ㆍ2021 글로벌 이슬람 경제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세계 할랄푸드 시장 규모는 1조1700억 달러(한화 약 1395조 원)로
‘K밀키트’가 김치, 라면 등 K푸드 열풍의 바통을 이어받을 수 있을까.
코로나 집밥족 덕분에 활황을 누리고 있는 국내 밀키트 업체들이 해외 시장을 하나둘씩 노크하고 있다.
26일 시장조사 전문회사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18년 345억 원에 불과했던 국내 밀키트 시장은 지난해 1880억 원으로 최근 3년 새 규모가 445%나 커졌다. 사회적 거리두기
사조대림의 순창고추장이 동남아시아에서 지난해 매출 신장률이 300%를 기록했다고 5일 밝혔다.
사조대림은 2018년부터 말레이시아 시장에 할랄인증 제품들을 선보여오고 있다. 특히 2018년 6월 할랄제품 전용 생산설비를 갖추고 할랄인증을 받은 사조그룹의 장류 생산공장 ‘사조산업 순창공장’에서 생산된 고추장 제품이 현지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고 사조대
신세계푸드의 ‘대박라면’이 글로벌 시장에서 대박 행진을 기록하며 인기를 끌고 있다.
28일 신세계푸드에 따르면 2018년부터 글로벌 할랄푸드 시장 공략을 위해 해외에서 판매 중인 ‘대박라면’의 올해 연간 판매량이 1000만 개를 돌파해 전년 대비(2019년 305만 개) 3배 이상 증가했다. 판매국가도 지난해에는 ‘대박라면’을 생산하는 말레이시아를 중심으로
신세계푸드의 ‘대박라면’이 말레이시아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신세계푸드는 글로벌 할랄푸드 시장 공략을 위해 말레이시아에 출시한 ‘대박라면’의 누적 판매량이 1000만 개를 돌파했다고 20일 밝혔다.
품목별로는 2018년 3월 ‘대박라면’ 론칭시 첫 선을 보인 ‘대박 김치찌개’와 ‘대박 양념치킨’ 등 2종이 400만 개, 2019년 3월 전세계에
서양인은 동양인을 잘 구별하지 못한다. 동남아 사람과 동아시아 사람 정도 구별할지는 몰라도 한국인인지, 일본인인지, 중국인인지는 잘 모른다. 하지만 우리는 안다. 옆에 지나가는 사람이 일본어를 사용하지 않아도 생김새로 일본인임을 대번에 안다. 그렇지만 우리라고 사우디아라비아인과 이란인의 차이를 알까? 우리 역시 구별하지 못한다. 우리 눈에는 비슷해 보이는
면세점 업계가 외국인 관광객들의 지갑을 열기 위해 적극적인 마케팅에 나서고 있다.
시내 면세점들이 중국 보따리상 덕에 매출은 호황이지만, 이들의 불법 구매 대행을 단속하는 전자상거래법 시행으로 보따리상 의존도를 낮춰야 한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보따리상 의존도를 줄이고 일반 관광객 소비를 늘리는 것이 면세점 업계의 과제로 떠올랐지만, 관광객 소비는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는 일산 킨텍스에서 ‘2019 서울국제식품산업대전(이하 서울푸드2019)’ 을 21일 개막하고 ‘2019 글로벌 푸드 트렌드&테크 컨퍼런스(GFTT2019)’를 개최했다.
GFTT2019는 ‘발견-모험을 즐기는 소비자(Discovery-The Adventurous Consumer)’라는 주제로 △혁신 △인사이트 △마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