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통계 차이뿐 아니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하는 주택공급실적 통계가 대거 누락돼 대대적인 정정이 이뤄지는 등 통계 신뢰도 자체를 흔드는 일이 발생했다. 지난해 통계 조작 논란 이후에 벌어진 대형 통계 사고인 데다, 과거 통계 오류 상황과 같은 변명이 되풀이됐다. 전문가들은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매뉴얼을 개선하거나 제3의 기관에 통계 작성을 맡겨야 한다
2019년 11월 기준으로 우리나라 인구의 딱 절반이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것을 나타났다. 1인 가구는 30.2%를 차지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가구 형태로 자리잡았다. 또 주택은 1813만 호로 전년대비 49만호(2.8%) 늘어나는 데 그쳤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2019년 인구주택총조사 집계결과'에 따르면 2019년 11월 1일 기준으로 우
인구가 늘고 개발사업이 진행되며 제주도의 표준단독주택가격 상승률이 전국에서 가장 가팔랐다.
28일 국토교통부는 올해 1월 1일 기준 전국 표준단독주택 19만호에 대한 가격을 공시(1월 29일 관보 게재)했다.
표준단독주택 공시가격 변동률은 전국 평균 4.15%로 전년도 상승률 3.81%에 비해 상승폭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제주, 울산, 세종
올해 표준단독주택가격이 발표되면서 상승세가 높은 지역들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이들 지역마다 대규모 개발사업 등이 배경으로 꼽히고 있다.
28일 국토교통부는 올해 1월 1일 기준 전국 표준단독주택 19만호에 대한 가격을 공시(1월 29일 관보 게재)했다.
지역별로 보면 제주(16.48%), 세종(10.66%), 울산(9.84%), 대구(5.91%),
전국의 아파트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 비율이 지난해 4분기(2015년 10∼12월)에도 최고치 경신 행진을 이어갔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27일 발표한 '2015년 4분기 부동산시장 동향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10∼12월 전국 주택의 전세가격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5.6% 상승했다.
수도권의 주택 전세가격은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7.2% 올랐고 지
시설이 노후화되고 주거환경이 열악한 공공임대주택의 시설을 개선하기 위해 국비 2700억원(추경 2000억원+본예산 700억원), 지방비 900억원 등 총 3600억원이 투입된다.
19일 국토해양부는 2009년 추가경정 예산으로 배정된 노후 공공임대주택 시설개선사업비 2000억원에 대해 대상사업을 확정하고 지자체와 주택공사에 통보했다.
노후 공공건
지난 11월 15일 참여정부의 8번째 굵직한 부동산대책이 발표되었다. 이중 눈에 띄는 것은 공공택지 조기공급 및 물량 확대를 위한 주택공급 로드맵이다. 기존의 신도시 용적률을 높여 당초 계획보다 4만 3,000가구를 추가하여 짓고 향후 4년간 수도권에서 총 164만 가구를 공급하겠다는 것이 주 내용이다. 이에 따라 송파, 김포, 파주 등 서울, 수도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