엠게임이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 834억 원, 영업이익 128억 원, 당기순이익 153억 원으로 집계됐다고 14일 발표했다.
지난해 매출액은 지난해 대비 2.2% 상승하며 3년 연속 역대 최대 매출액을 기록했다.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신작 마케팅 비용 및 2분기 일시적인 경상개발비의 증가로 전년도 대비 각 39.8%, 29.8% 하락했다.
작년 4분기
데브시스터즈는 지난해 연간 누적 매출 2,362억 원, 영업이익 272억 원, 당기순이익 341억 원을 기록했다고 11일 밝혔다.
서비스 5년차에도 지속 성장 중인 ‘쿠키런: 킹덤’과 지난해 6월 선보인 신작 ‘쿠키런: 모험의 탑’이 실적 향상을 이끌었다. 이에 전년 대비 매출은 46.6% 증가했고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특히 ‘쿠
부동산 시장이 침체 일로를 걷는 가운데 명문 학군이 형성된 지역으로 수요 쏠림이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 우수한 교육 환경을 기반으로 가격 상승세가 지속하면서 수요 유입이 이어지는 것으로 분석된다.
8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서울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 원베일리'는 지난해 8월 전용면적 84㎡가 60억 원에 거래되며 전국 최고가를 기록
외국납부세액 공제 방식 개편으로 연금계좌 혜택 축소 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한화자산운용은 국내 고배당주에 투자하는 ‘PLUS 고배당주 상장지수펀드(ETF)’에 연금계좌와 개인자산종합관리계좌(ISA) 등 절세 계좌로 투자하면 과세이연 효과를 누릴 수 있다고 6일 밝혔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5일 발생한 PLUS 고배당주 ETF의 개인 순매수는 약 39억
JB금융그룹은 지난해 당기순이익(지배지분)이 전년대비 15.6% 증가한 6775억 원을 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 이는 사상 최대 실적이다.
주요 경영지표 부문에서 지배지분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3.0%, 총자산이익률(ROA)은 1.06%를 기록했다. 지방은행 최고 수준의 수익성 지표다.
경영 효율성 지표인 영업이익경비율(CIR)은 전년 대비
전년 대비 25.5%↑…4분기 흑자 전환400억 원 규모 자사주 매입·소각 결정
BNK금융그룹은 지난해 연결 당기순이익(지배기업지분)이 전년 대비 25.5% 증가한 8027억 원을 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 이자이익과 유가증권 관련 이익 등 비이자이익 증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충당금 등 대손비용 감소가 호실적을 견인했다.
지난해 4분기
5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알파벳, AMD, 암젠 등의 주가 등락이 두드러졌다.
구글 모기업 알파벳 주가는 투자자들이 전날 장 마감 이후 발표한 지난해 4분기 실적 발표 내용을 소화하면서 주가가 내렸다. 시장의 관심을 끄는 클라우드 부문 매출이 기대에 미치지 못한 것이 매도세를 불렀다. 알파벳A주와 C주는 각각 7.29%, 6.94% 하락 마감했다.
한샘이 지난해 312억 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하며 2년 연속 흑자 기조를 이어갔다. 한샘은 올해 선망받는 브랜드로 도약한다는 목표다.
한샘은 5일 지난해 4분기 잠정실적 발표를 통해 매출 4904억 원과 영업이익 39억 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작년 연간으로는 매출 1조9084억 원, 영업이익 312억 원을 기록했다. 전년보다 매출은 3.0%가 줄었으나
애경산업의 지난해 수익성이 하락했다.
애경산업은 2024년 연결 기준 연간 매출액이 전년 대비 1.5% 증가한 6791억 원, 영업이익은 23.5% 감소한 474억 원을 기록했다고 23일 밝혔다.
애경산업은 지난해 실적에 대해 “국내 및 글로벌 사업 역량 확대를 위한 투자의 영향으로 영업이익이 감소했다”며 “일본 등 비중국 국가에서 성장 동력을 확보하
상상인증권은 녹십자의 지난해 4분기 연결기준 매출이 전 분기 대비 4.2% 줄어든 4455억 원, 영업손실 39억 원을 기록하며 적자전환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으나, 목표주가는 19만3000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현재 주가(17일 기준)는 14만6400원이다.
20일 김선아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당초의 기대보다 낮은 이익이
중소벤처기업부는 올해 산·학·연 컬래버Collabo) 연구개발(R&D)에 451억 원을 신규 지원하는 등 시행계획을 공고한다고 19일 밝혔다.
산·학·연 Collabo R&D는 2018년도에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해 2019년부터 2028년까지 10년간 총사업비 3770억 원(국비)으로 운영되는 중기부의 대표적인 산·학·연 협력 기술개발사업이다. 1단계
정부가 올해 중견기업의 기술개발 지원 액수를 350억 원에서 534억 원으로 대폭 늘렸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25년 중견기업 전용 연구개발(R&D)에 총 534억 원을 지원한다고 19일 밝혔다.
총예산이 지난해 350억 원보다 53% 증가해 신규 지원하는 과제 역시 지난해 9개에서 올해 31개로 늘어 중견기업의 연구개발 투자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현대백화점
이젠 지누스가 효자 노릇
4Q24 Preview: 이젠 지누스가 효자 노릇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7만 원 유지
오린아 LS증권 연구원
◇진에어
4Q24 Preview: 실적보다 중요해진 재편
겨울 성수기의 시작을 알리는 4분기
1분기 성수기 모멘텀이 부각되기 어려운 환경
대한항공 계열 LCC로서의 차별성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
최고운 한
노을 주식회사는 마이랩 플랫폼(miLab™ Platform)과 인공지능(AI) 기반 소프트웨어 의료기기·카트리지 3종의 영국 시장 사용 등록을 마쳤다고 13일 밝혔다.
영국 시장에서 판매되는 체외진단 의료기기는 기존 유럽 시장 판매를 위해 획득한 CE 인증을 기반으로 영국 의약품 및 보건의료제품 규제청(MHRA)에 별도의 제품 등록을 해야 한다. 이번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약 9개월 만에 멈췄고, 서울 외곽지역은 물론 강남구 안에서도 일부 단지의 하락 거래가 이어진다. 하지만 압구정은 거래 한파 ‘무풍지대’로 남아 토지거래허가제와 거래 절벽이 지속해도 투자가 쏠리는 모양새다. 전문가는 적어도 상반기까지 압구정 일대 단지의 독주가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6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산업부, 2024년 연간 및 12월 수출입동향 발표반도체 수출 1419억 달러로 역대 최대치 경신지난해 12월 수출 6.6%↑...15개월 연속 플러스
2024년 한국 수출액이 6838억 달러로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반도체 수출이 역대 최대치를 경신하면서 전체 수출 증가세를 견인했다.
지난해 12월 수출은 6.6% 증가하면서 동월 기준 역대
국내 화장품 로드숍 브랜드들이 올해 꽤 호실적을 거뒀다. 이커머스와 오프라인 헬스·뷰티(H&B) 매장에 입점하며 유통망을 확장한 덕분이다. 여기에 K뷰티가 해외 소비자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면서 글로벌 사업 확장에 박차를 가하며 실적 개선을 돕고 있다.
27일 뷰티업계에 따르면 국내 주요 뷰티 로드숍 브랜드들은 이커머스와 H&B 오프라인 매장, 해외 시
올해 서울에서 가장 아파트값이 많이 오른 곳은 성동구로 나타났다. 신흥 부촌 아파트가 밀집했고 강남 접근성이 좋은 중간 가격대 단지가 많아 외지인 수요가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경기도는 과천시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상승률 1위를 기록했다.
22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1월 1일~12월 16일) 서울 아파트 누적 상승률은 4.49%로 집계됐다
기업 성장성이 둔화하고 있다. 통계청이 18일 발표한 ‘2023년 기업활동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만4550개 기업 매출액은 3203조 원으로 전년보다 1.1% 줄었다.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된 2020년(-3.2%) 이후 3년 만에 감소세다. 기업당 평균 매출액은 전년보다 5.9% 줄어든 2269억 원이다.
수익성도 하락하고 있다. 법인세 차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