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역대급 매출을 기록한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 직원들의 평균 연봉이 1억 원을 넘은 것으로 확인됐다.
1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삼성바이오로직스 직원 총 5011명의 1인 평균 급여액이 1억700만 원이었다. 2023년 9900만 원 대비 약 8% 증가했다. 평균 근속연수는 5.2년이다. 셀트리온은 2901명 근로자의 1인
차세대 항암제 방사성의약품, 생산 한계로 원료 공급 부족 SK바이오팜, 해외 기업과 공급 계약…원료 수급 안전성↑‘전립선암 치료제 개발’ 셀비온‧퓨쳐켐, 원료 생산시설 구축
방사성의약품(RPT)이 차세대 항암제로 떠오르는 가운데, K바이오가 RPT 원료인 방사성동위원소 수급에 속도를 내고 있다. 현재 국내에는 RPT 방사성동위원소 생산시설이 없어 주로
국내 바이오 기업들이 항암 신약 후보물질 임상 연구에서 성과를 올리고 있다. 암 질환 치료 분야의 미충족 수요가 높은 만큼, 기업들은 파이프라인 연구개발(R&D)에 대한 투자를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12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최근 퓨쳐켐, 파로스아이바이오, 에이비온 등 R&D 중심의 국내 바이오 기업들이 항암 신약 연구에 속도를 붙이고 있다. 기
글로벌 블록버스터를 향한 K바이오의 꿈이 점점 구체화하고 있다. 해외 기업과 손잡은 국내 제약·바이오기업들의 신약 연구·개발(R&D) 성과가 이달 중 연달아 공개된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존슨앤드존슨(J&J)은 3월 26일부터 29일(현지시간)까지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유럽폐암학회 2025(ELCC 2025)’에서 유한양행의 ‘레이저티닙’(미국 제품
1990년대 초반, 비디오로 빌려 보던 ‘바이오맨’이라는 특촬 히어로물을 기억하는 세대에게 ‘바이오’는 그저 멋진 영웅의 이름이었다. 30여 년이 지난 지금, 바이오가 대한민국 미래 성장의 핵심 동력으로 부상할 줄은 상상도 못했다.
최근 덴마크 제약사 노보노디스크가 비만치료제로 유럽 시가총액 1위 기업으로 도약한 성과는 바이오산업의 잠재력을 뚜렷하게
올해 국내 제약·바이오업계에 새로운 이정표가 예고됐다. 업계 양대 산맥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이 각자 연매출 5조 원을 약속한 것이다. 글로벌 사업으로 성장한 두 기업의 활약으로 K바이오의 위상이 한 단계 올라갈지 주목된다.
26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올해 매출 추정치(컨센서스)는 5조5477억 원으로 집계됐다. 20
삼성바이오에피스, 세 번째로 미국에 스텔라라 시밀러 출시지난해 허가받은 셀트리온‧동아ST, 올해 2월과 5월 출시 목표FDA 허가 스텔라라 시밀러 7개, 대부분 올해 출시…경쟁 예고
삼성바이오에피스가 미국에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피즈치바’(성분명 우스테키누맙)를 출시하며 첫발을 내디뎠다. 올해부터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가 줄줄이 출시될 것으로 예상되는
“2025년은 여러분과 제가 몸담고 있는 한국제약바이오산업이 국민 건강과 대한민국 경제의 희망이 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쏟아부어야 합니다.”
노연홍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장은 25일 오후 3시 서울 서초구 협회 회관에서 열린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제80회 정기총회에서 이 같은 포부를 밝혔다.
앞서 제약바이오협회는 이달 18일 2025년도 제1차 이사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를 향한 ‘관세 전쟁’의 칼을 빼 들었다. 당선 전부터 줄기차게 적극적인 관세 정책을 예고한 탓에 올 것이 온 셈이지만, 의약품에도 적용하겠단 뜻을 강조하면서 국내 제약·바이오업계에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19일(현지시간) “다음 한 달 안에 의약품 등에 대한 관세를 발표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당초
리가켐바이오, 순수 신약 개발로만 지난해 매출 1000억 원 돌파 바이오 업계, 2023년 오름테라퓨틱 이어 2년 연속 매출 1000억글로벌 빅파마와 협업‧기업 자립성 높일 수 있어…자금난 해소도
K바이오가 2년 연속 매출 1000억 원 기업을 탄생시키며 국산 신약개발 기술력을 입증하고 있다. 고정적인 매출 수단이 없는 바이오 벤처가 순수 신약개발로
국내 바이오기업들이 연이어 유상증자를 추진하고 있다. 기업들은 주요 파이프라인 임상시험과 연구개발(R&D) 자금은 물론, 생산설비 확충에 필요한 비용 마련에 나섰다. 일시적인 주가 하락이 불가피한 만큼, 소액주주의 반발을 최소화하고 기업 가치를 유지하는 것이 관건으로 꼽힌다.
13일 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최근 알테오젠과 현대바이오사이언스가 각각 유상증자
올릭스, 릴리에 MASH 치료제 약 9000억 원에 수출…펩트론과는 기술 평가베링거인겔하임은 인벤티지랩‧지투지바이오와 장기 지속형 주사제 공동개발 한국 기업은 수준 향상, 글로벌 빅파마는 외부 물질 도입 선호… ‘윈윈(win-win)’
K바이오가 글로벌 빅파마의 마음을 사로잡으며 기술수출과 공동개발 등 협업을 넓히고 있다. 기존 성과를 냈던 기업에 몰렸던
제약바이오 전문가들 “지속 가능 성장위해 위험 감수 필요”
국내 바이오기업들이 인수합병(M&A)을 통한 성장동력 확보에 나섰다. 투자심리 위축과 고환율, 고물가 등 냉랭한 시장 환경을 극복하고 사업 확장 모멘텀을 마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6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최근 바이오기업들의 동종 기업 M&A와 지분인수가 활발하다. 지난달에만 인벤티지
국내 진단 기업들이 빠르게 성장하는 중동·아프리카 시장에서 영향력을 강화한다. 자체 개발 기술력을 기반으로 현지 최대 진단·의료기기 전시회에 출동해 주목받고 있다.
5일 업계에 따르면 3일부터 6일(현지시간)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 열리는 ‘메드랩 2025(Medlab Middle East 2025)’에는 전 세계 800여개 기업과 2만 명이 넘는 인
중국 제약‧바이오산업 약 10년 새 66% 급성장빅파마와 M&A‧기술이전 증가로 기술력 입증향후 K바이오에 위협…임상서 숫자로 성과 내야
최근 중국 바이오업계가 대형 인수합병(M&A)과 기술이전 계약 등을 성공시키며 무섭게 성장하고 있다. 중국이 글로벌 파이프라인의 23%를 차지할 만큼 성장했다. 기술력이 좋지 않다는 것도 옛말이다. 제약·바이오업계는
정부의 제약·바이오산업 육성 정책이 재가동되면서 국산 백신 연구개발(R&D)이 활력을 얻을지 주목된다. 비상계엄과 대통령 탄핵 국면으로 인한 불확실성이 커 기업들이 체감할 수 있는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좌초 위기에 놓였던 국가바이오위원회가 이달 23일 출범했다. 국가바이오위원회는 제약·바이오와 보건·의료, 식량, 자원,
지난해 유한양행의 비소세포폐암(NSCLC) 치료제 ‘렉라자’(성분명 레이저티닙)가 미국 식품의약국(FDA) 품목허가를 획득하며 한국 제약바이오 산업의 큰 성과로 자리매김했다. 올해 렉라자를 뒤이어 FDA 문턱을 넘을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의 활약에 관심이 쏠린다.
30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올해 HK이노엔은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으로, HL
바이오를 제2의 반도체로 육성하기 위해 민·관 원팀으로 구성된 ‘국가바이오위원회’가 공식 출범했다. 정부는 23일 서울바이오허브 글로벌센터에서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국가바이오위원회 출범식을 갖고 제1차 회의를 개최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12월 대통령 직속 국가바이오위원회를 출범시킬 계획이었지만 윤석열 대통령의 비
이달 13일부터 16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세계 최대 제약‧바이오 투자행사 ’제43회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가 막을 내렸다. 국내 기업들도 대거 참여하며 기술이전과 파트너링 등에서 많은 성과를 달성한 것으로 평가된다.
올해 행사는 첫날부터 21조 원 규모의 빅딜이 터지며 개막을 알렸고, 이후에도 줄줄이 기술이전과 인수합병(M
“외국인이 이렇게 많은 건 처음입니다. 그만큼 한국 바이오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고 생각합니다.”
15일(현지시간) ‘제43회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가 열리는 미국 샌프란시스코. 한국바이오협회가 주관하는 ‘코리아 나이트 @JPM 2025’가 열린 행사장 더 큐브(The Cube)는 인파로 북적였다.
올해 6회째인 코리아 나이트는 JP모건 행사기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