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업계가 금융권의 카드 복합할부금융 수수료율 확대 관련 요구를 전면 반박하고 나섰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는 16일 “카드 복합할부의 확대는 자동차 가격 상승요인이 돼 산업 경쟁력이 악화될 수 있다”고 밝혔다.
협회는 “일반 카드거래와 같은 1.9%의 수수료율은 과도하다”며 “자동차 복합할부는 일반 카드거래와 달리 자금조달비용과 대손비용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그럼녀서 “카드사가 자동차 판매사로부터 받은 1.9%의 수수료율 중 1.37%를 캐피탈사에 넘겨주고 캐피탈사가 이를 자사의 영업에 활용한다”며 “자동차 제조사의 의사와 관계없이 캐피탈사의 영업비용을 지원해주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협회는 금융당국의 할부금융 규제 움직임도 글로벌 시장의 추세로 볼 때 과도한 규제정책이라고 꼬집었다. 협회에 따르면 ‘글로벌 자동차업계 계열할부금융 비중’은 BMW는 79%, 폭스바겐 70%, 닛산 68%, 혼다 66%, 토요다 63%로 현대차(63%)와 기아차(49%)보다 높거나 비슷한 수준이다.
관련 뉴스
한편,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은 복합할부 수수료율 문제 해결을 위해 최근 이원희 현대자동차 재무담당 사장을 만나 비공식 면담을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차와 국민카드의 협상 마감 시한은 17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