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etoday.co.kr/pto_db/2014/11/20141117111242_540848_500_340.jpg)
“한국거래소는 금융투자업계와 협력해 상장지수증권(ETN)시장이 상장지수펀드(ETF) 등 기존 증권상품과 경쟁하면서 조화롭게 발전해 다양한 투자수요를 충족시키는 종합 자산관리 허브시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최경수 거래소 이사장은 17일 서울 여의도 거래소 사옥에서 열린 ETN 개장식에 참석해 이 같이 말했다.
ETN은 증권사가 자기신용으로 발행하고 투자기간 지수 수익률을 보장하는 만기가 있는 파생결합증권이다. 상장지수펀드(ETF)와 유사한 수익 구조를 지녔지만 발행주체와 만기의 유무에서 차이가 있다
이날 최 이사장은 ETN시장이 투자자의 자산 관리 수단이 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자본시장의 활력을 되찾는 데 일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최 이사장은 “자산운용에 대한 제한이 없는 ETN 시장의 등장으로 종전에는 복잡한 투자절차와 비싼 비용 때문에 자산가나 전문투자자의 영역으로 여겨졌던 해외자산이나 복잡한 투자전략상품에 일반 투자자들이 손쉽게 투자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ETN시장이 투자자에게 다양한 자산 관리수단을 제공해 성공적으로 안착한다면 경제회복 지연으로 인한 인위적 유동성 확대 및 환율인하 경쟁 등 비우호적 글로벌 경제환경 속에서 장기간 답보상태를 보이고 있는 국내 자본시장에 활력을 불어 넣을 수 있다”며 “수익성 악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금융투자업계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더불어 최 이사장은 ETN시장 안정화 이후 다양한 상품 도입 계획에 대해 밝혔다. 최 이사장은 “시장개설 초기에는 비교적 친숙하고, 투자자가 이해하기 쉬운 상품을 도입하고 향후 시장이 성숙해지면 변동성지수 상품 등 보다 복잡한 투자대상과 전략을 활용하는 다양한 상품이 도입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최 이사장은 거래소를 비롯한 금융투자업계에 시장 안착을 위한 노력을 당부했다. 그는 “ETN시장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투자자 보호 및 효율성 제고를 위한 시장관리를 충실히 수행하는 한편, 투자 저변 확대를 위해 업계와 공동으로 마케팅 활동도 지속적으로 펼쳐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어 “금융투자업계도 투자수요 및 시장 트렌드를 적시 수용하는 상품 개발과 더불어 유동성공급을 통한 시장 활성화에 더욱 노력해 달라”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