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철 교수는 “가장 큰 문제는 금융안정성에 대한 정의가 없어서 금융불안요인을 포착하기 어렵다는 점”이라며 “그뮹안정성의 정의가 어렵지만 반드시 해야하기 때문에 금감위와 IMF가 연구단체 등과 함께 계속 연구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또한 자산버블과 관련 “한국의 경우 정부당국은 상당한 달러를 보유하고 있으며, 민간부문도 현지화폐로 표시된 자산을 많이 갖고 있다”며 “현재 투자할 수 있는 복잡한 고급 금융상품이 많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상황에서는 실물 자산에 투자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자산시장의 유동성은 전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으면 실물자산의 거품에 대해 걱정하고 있다”며 “특히 물가안정이 되고 있는 상황에서 거품이 일어나고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이러한 상황에서 통화정책만으로 자산안정화를 가져올 수 없다”며 “자산가격과 물가의 안정을 위해서는 통화정책 이외의 도구를 사용해야 하는데 도구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
이어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도구 있다면 적극 성장시켜야 한다”며 “IMF의 FSAP도 이러한 도구로 상당히 중요하고 이 때문에 FSAP가 특정 이슈에 좀 더 적극적으로 다가가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