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한 생각] 2월13일 孝園都市(효원도시) 정조의 효심이 애틋한 도시 수원

입력 2015-02-13 14:3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임철순 주필 겸 미래설계연구원장

사도세자는 조선 제21대 국왕 영조의 두 번째 왕자로, 영조 11년(1735년) 1월 21일에 태어났다. 양력으로는 2월 13일이다. 장남 효장(孝章)세자가 아홉 살로 요절한 지 7년 후였다.

그는 유일한 아들이 된 셈이었지만 부왕의 노여움을 산 끝에 뒤주에 갇힌 지 9일 만에 숨졌다. 이 임오화변(壬午禍變·1762년 5월 21일)의 원인에 대해서는 정치적 처분이라는 견해와 개인적 문제에서 비롯된 일이라는 해석으로 나뉘는데, 어느 한 가지만은 아닐 것이다. 아내 혜경궁 홍씨는 ‘한중록(閑中錄)’에서 사도세자가 무서운 아버지를 만나기 싫어하다가 옷 입기를 기피하는 의대증(衣帶症)에 걸렸다고 썼다.

아들이 숨지자 영조는 ‘사도(思悼)’라는 시호를 내리고, 묘호를 수은묘(垂恩墓)라고 했다. ‘생각할 사, 서러워할 도’다. 영조가 쓴 묘지명(무덤에 함께 묻는 글)에는 ‘오호(嗚呼)’라는 탄식이 열 번은 나온다. “너는 무슨 마음으로 일흔 살 먹은 애비를 이런 지경에 처하게 하느냐”[爾何心使七十其父遭此境乎]라고 한 대목도 있다.

정조는 즉위한 날 바로 윤음(綸音)을 통해 “아, 과인은 사도세자의 아들이다[嗚呼 寡人思悼世子之子也]”라고 선언해 조신들을 아연 긴장케 했다. 이어 아버지에게 장헌(莊獻)세자라는 시호를 올리고, 양주 배봉산(지금의 서울시립대 뒷산)에 있던 묘소와 사당도 영우원(永祐園) 경모궁(景慕宮)으로 고쳤다. 그 뒤 묘소는 현륭원(顯隆園·뒤의 융릉)으로 개칭돼 수원부(水原府) 뒷산으로 옮겨졌다. 오늘날 수원이 정조의 효심이 서린 ‘효원(孝園)의 도시’로 불리게 된 연유다.

정조는 사후 사도세자의 능에 가까운 건릉(健陵)에 묻혔다. 경기도 화성시에 있는 이 부자의 능을 뭉뚱그려 융건릉(隆健陵)이라고 부른다. 영조의 무덤은 경기 구리시 동구릉의 원릉(元陵)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플레이브가 방송 못 나온다고?"…때아닌 버추얼 아이돌 논란, 왜? [이슈크래커]
  • '김새론 사망'에 악플러들 비판…"악플 문제, 제도장치 마련해야"[이슈크래커]
  • 금 뜨자 주목받는 은…"아직 저렴한 가격"
  • 단독 ‘백약이 무효’ 작년 상반기 보험사기액 6028억…올해 최대치 경신 전망
  • 상승 재료 소진한 비트코인…9만6000달러 선에서 횡보 [Bit코인]
  • [날씨] 다시 찾아온 '추위'…아침 최저 -8도
  • 트럼프 “러·우 둘다 싸움 멈추길 원해…푸틴과 매우 곧 만날 것”
  • 월세 내기 빠듯한 청년들 위한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제도, 신청 자격은? [경제한줌]
  • 오늘의 상승종목

  • 02.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718,000
    • -1.03%
    • 이더리움
    • 4,177,000
    • +2.68%
    • 비트코인 캐시
    • 496,300
    • -0.68%
    • 리플
    • 4,009
    • -2.62%
    • 솔라나
    • 272,700
    • -5.15%
    • 에이다
    • 1,229
    • +5.49%
    • 이오스
    • 961
    • +0.31%
    • 트론
    • 367
    • +0.82%
    • 스텔라루멘
    • 510
    • -1.9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750
    • -0.42%
    • 체인링크
    • 29,220
    • +2.24%
    • 샌드박스
    • 604
    • +1.5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