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작년 부동산 토지개발 면적 25% 축소…추가 부양 압박 커질 듯

입력 2015-02-25 10:0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09년 이후 최대폭으로 줄어…지방정부 부채 문제 심화 전망

▲중국 토지개발 면적이 크게 축소하는 등 경기둔화가 심화하고 있다. 사진은 중국 베이징의 한 아파트단지 공사현장. 출처 블룸버그

중국의 지난해 토지개발 면적이 큰 폭으로 줄어들면서 추가 경기부양 압박이 커질 전망이다.

중국 국토자원부는 24일(현지시간) 지난해 자국 내 신규 부동산 개발에 이용된 토지면적이 15만1000헥타르로 전년보다 25% 축소됐다고 발표했다. 이는 2009년 이후 두 번째로 줄어든 것이며 가장 큰 감소폭이다. 부동산 관련 토지개발 면적은 지난 2012년 4.2% 축소하고 나서 지난해 다시 감소했다. 산업과 인프라 부문을 포함한 전체 토지개발 면적은 61만 헥타르로 16.5% 줄어들며 2009년 이후 첫 감소세를 나타냈다.

부동산은 중국 국내총생산(GDP)에서 직·간접적으로 차지하는 비중이 절반에 이른다. 또 철강과 시멘트, 가구, 전자 등 여러 산업에도 영향을 미친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아직 부동산시장의 조정이 중국 경제 전반에 큰 타격을 주지는 않고 있지만 이런 타격이 나타나기 시작하면 큰 고통을 안길 것이라고 경고했다.

중국 부동산 판매는 지난주 춘제(설날) 연휴 시작 전 일주일 간 전년보다 20%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하이퉁증권은 최근 보고서에서 같은 기간 전력소비와 자동차 판매, 백색가전 판매 등이 전년보다 줄었다고 밝혔다. 이에 하이퉁증권은 “인플레이션 압력이 계속 둔화할 전망이지만 인민은행이 또 한 차례 기준금리를 내릴 시점이 다가왔다”고 지적했다. 인민은행은 지난해 11월 2년여 만에 기준금리를 낮췄다.

특히 토지판매는 중국 지방정부 재정수입에서 막대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지방정부 부채문제를 더욱 심화시킬 수 있다. 중국 감사원 격인 심계서는 2013년 6월 기준 지방정부 부채가 18조 위안(약 3189조원)에 이른다고 집계했다.

중국 31개 성 가운데 하이난성이 유일하게 그 이후 부채 현황을 공개한 상태다. 하이난성은 18개월간 부채가 20% 이상 늘어 지난해 말 기준 1700억 위안에 이른다고 밝혔다. 나머지 30개 성도 재정부에 다음달 8일 전까지 부채 현황을 보고해야 한다고 FT는 덧붙였다.

부채 압박에도 중국 각 지방정부는 경기둔화를 막고자 고정자산 투자를 늘릴 계획이다. 후난과 후베이, 산시 등 3개 성이 최근 공개한 올해 고정자산 투자 규모는 총 60억 위안으로 전년보다 20% 증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플레이브가 방송 못 나온다고?"…때아닌 버추얼 아이돌 논란, 왜? [이슈크래커]
  • '김새론 사망'에 악플러들 비판…"악플 문제, 제도장치 마련해야"[이슈크래커]
  • 금 뜨자 주목받는 은…"아직 저렴한 가격"
  • 단독 ‘백약이 무효’ 작년 상반기 보험사기액 6028억…올해 최대치 경신 전망
  • 상승 재료 소진한 비트코인…9만6000달러 선에서 횡보 [Bit코인]
  • [날씨] 다시 찾아온 '추위'…아침 최저 -8도
  • 트럼프 “러·우 둘다 싸움 멈추길 원해…푸틴과 매우 곧 만날 것”
  • 월세 내기 빠듯한 청년들 위한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제도, 신청 자격은? [경제한줌]
  • 오늘의 상승종목

  • 02.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026,000
    • -0.86%
    • 이더리움
    • 4,166,000
    • +2.23%
    • 비트코인 캐시
    • 500,500
    • +0%
    • 리플
    • 4,044
    • -2.65%
    • 솔라나
    • 279,000
    • -3.79%
    • 에이다
    • 1,216
    • +3.75%
    • 이오스
    • 972
    • +0.62%
    • 트론
    • 371
    • +3.06%
    • 스텔라루멘
    • 517
    • -0.77%
    • 비트코인에스브이
    • 60,300
    • +0.58%
    • 체인링크
    • 29,240
    • +2.06%
    • 샌드박스
    • 610
    • +1.3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