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는 2015년 7월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항만물동량이 총 1억1896만 톤으로 전년 동월(1억 1천850만 톤)대비 0.4% 증가했다고 26일 밝혔다.
증가세를 보인 주요 항만은 대산항, 동해‧묵호항, 부산항 등으로 수출입 및 환적 물동량 증가로 전년 동월 대비 각각 8.8%, 4.4%, 1.9%의 증가세를 기록했다.
반면 목포항, 광양항, 평택‧당진항 등은 수출화물과 연안화물의 감소로 전년 동월 대비 각각 10.4%, 6.3%, 2.6% 감소했다.
품목별로 보면 목재 처리 물동량이 전년대비 22.3% 늘었으며 화공품, 자동차 등도 전년 대비 각각 14.7%, 10.2%의 증가세를 보인 반면, 기계류, 광석 등은 각각 20.3%, 8.0% 줄었다.
비컨테이너 처리 물동량은 총 8282만 톤으로 전년 동월(8292만 톤) 대비 0.1% 감소했다.
대산항, 동해‧묵호항 등은 증가세를 나타낸 반면 목포항을 비롯한 광양항, 평택‧당진항 등은 감소세를 보였다. 대산항은 한화토탈의 석유제품부두 선석 확장에 따른 지속적인 유류 수출입 증가로 인해 전년 동월 대비 8.6% 증가했다.
반면 목포항은 자동차의 수출입 및 내항화물 감소에 따라 전년 동월 대비 9.7% 감소했으며 광양항은 철재 소비산업인 건설 및 조선업의 경기 침체로 인해 광석과 철재 수출입이 전년 동월 대비 7.0% 줄었다.
품목별로 보면 양곡, 모래, 자동차 등의 물동량이 전년 동월 대비 각각 27.3%, 10.0%, 9.1% 증가한 반면, 기계류, 광석 등은 각각 25.0, 9.3% 감소했다.
항만별로 살펴보면, 부산항 전체물동량은 전년 동월 대비 0.5% 증가한 160만1000 TEU를 기록하며 광양항은 전년 동월 대비 4.6% 감소한 18만2000TEU를 기록했다.
인천항은 중국, 태국, 홍콩 등과의 수출입 물동량 감소로 전년 동월 대비 4.4% 감소한 19만7000TEU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