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기업 최고경영자(CEO) 5명중 4명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가 발효될 경우 자사의 매출이 증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가 최근 국내기업 CEO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 79.4%가 '한미 FTA가 매출증대로 이어질 것'이라고 응답해 '매출 증대효과가 없거나 오히려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20.6%)보다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3년내 매출증대가 나타날 것'으로 응답한 CEO가 절반에 가까운 45.0%로 가장 많게 나타나 한미FTA에 따른 단기적 기대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CEO들이 예상하고 있는 매출증대 규모는 평균 16.5%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증대 규모를 기업형태별로 분석해보면, 예상대로 수출주력기업(26.4%)이 내수기업(13.0%)보다 2배이상 높게 전망했으며, 특히 대기업(13.7%)보다 오히려 중소기업(17.3%)이 더 높은 매출증가를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응답했다.
한미 FTA 발효로 인해 영향에 대해서는 '사업 분야와 영역이 지금보다 크게 확대될 것'이라는 응답이 33.5%로 가장 많았으며, '신규사업 발굴로 인한 고용증대(20.6%)', '해외사업부 강화 등 조직구조의 개편(19.0%)', '해외기업과의 합작투자 확대(11.4%)', '국제업무능력 보유자 또는 외국인 등용(7.6%)' 순으로 나타났다.
FTA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최우선 정책과제로 CEO들은 '기업규제 개혁(40.5%)'을 가장 많이 꼽았고 뒤 이어 '국민공감대 형성(14.5%)', '정치쟁점화 방지(13.0%)', '통상협상절차 확립(10.7%)' 등을 꼽았다.
특히 기업의 미래수익원 창출에 한미 FTA가 어느 정도 기여할지에 대해, CEO 2명 중 1명(51.1%)은 ‘향후 3년이상의 수익원 확보에 기여할 것’이라고 응답해 미래성장동력 창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들에게 한미 FTA가 하나의 돌파구가 될 것으로 전망됐다.
한편 추가적인 FTA 협상 대상으로는 41.3%가 EU를 지목했고, 중국(37.4%)과 일본(12.2%), 중동(3.8%) 순으로 뒤를 이었다.
한편, 국내기업 CEO들은 한미FTA로 인한 긍정정인 효과로 '산업구조 고도화(35.1%)'를 가장 많이 꼽았으며, 규제개혁 등 제도선진화(19.8%)', '성장동력 발굴(16.8%)' 등을 크게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농업 및 취약산업 몰락(54.2%)'과 '양극화 심화(22.1%)' 등에 대해서는 많은 우려를 숨기지 많았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기업인들은 한미 FTA가 소비와 투자에 활력을 불어넣고 선진제도의 정착과 규제 개혁의 계기가 되기를 기대하고 있다"며 "조속한 국회비준으로 우리 기업들이 한미 FTA의 효과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어야 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