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6년 새해가 밝자마자 보험사들는 보험료 인상 소식과 계획을 마치 기다렸다는 듯 마구잡이로 쏟아내고 있다.
현대해상은 최근 오프라인 자동차보험료를 최대 7.8%(영업용 기준) 인상했다. 손해보험업계 ‘빅3’에 속하는 현대해상이 보험료 인상 첫 테이프를 끊었으니 삼성화재, 동부화재, KB손해보험 등 굵직한 업체들도 자동차보험료를 조만간 인상할 것이란 의견이 대다수다.
생명보험업계도 상황은 다르지 않다. 금융감독원이 작년까지 고시했던 표준이율이 없어지면서 삼성생명, 교보생명, 한화생명 등 주요 생보사들은 예정이율을 2%대로 대폭 낮췄다. 저금리 기조 등 자산 운용 수익창출이 어려워질 것을 고려해 예정이율을 내린 것이다. 예정이율과 보험료는 반대로 움직인다.
금융당국이 보험료를 자율화하면서 보험료 책정의 기준이 됐던 위험률 조정 한도(±25%)도 없어졌다. 이에 실손보험료가 30%까지 오를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일찌감치 나왔다.
자유에는 절제와 책임이 따른다. 이 두 가지의 균형을 잡지 못하면 자유는 오히려 무질서로 변질되기 십상이다. 보험료 자율화 시대가 본격화되면서 경제 불황으로 생활고를 겪는 소비자들이 또다시 피해를 당하는 것 아니냐는 시각도 나오고 있다.
소비자 신변의 변화와 직결되는 보험상품은 돈만 맡기는 여타 금융상품과 다르다. 소비자들이 보험을 당장 현금화하지 않고 만약의 상황을 위해 유지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보험료 자율화를 통해 고객에 대해서는 책임감을 갖고, 과도한 경쟁은 지양하는 성숙한 보험업계의 모습을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