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구 한일전 역전패 원인 '수비 조직력+방심'… 신태용 "그래도 공격축구 계속"

입력 2016-01-31 09:4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 ▲30일(한국시간) 카타르 도하의 압둘라 빈 칼리파 스타디움에서 열린 2016 아시아축구연맹(AFC) 23세 이하(U-23) 챔피언십 결승전에서 일본에 2-3으로 역전 당한 뒤 박용우가 아쉬워하고 있다. (뉴시스)
▲ ▲30일(한국시간) 카타르 도하의 압둘라 빈 칼리파 스타디움에서 열린 2016 아시아축구연맹(AFC) 23세 이하(U-23) 챔피언십 결승전에서 일본에 2-3으로 역전 당한 뒤 박용우가 아쉬워하고 있다. (뉴시스)

올림픽 축구대표팀의 아시아 정상 등극 도전이 최악의 역전패로 결론나면서, 허술했던 수비 조직력에 대해 온라인 상에서 쓴소리가 나오고 있다. 후반 초반까지 일방적으로 우세했던 경기 분위기를 한 순간의 방심으로 잃어버렸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신태용 올림픽 축구대표팀 감독은 31일(한국시간) 카타르 도하 레퀴야 스타디움에서 2016년 아시아축구연맹(AFC) U-23 챔피언십 결승전 이후 가진 기자회견엣 "90분간 뛰면서 단 1%라도 방심하면 이런 결과가 나온다는 것을 배운 것 같다"고 말했다.

이날 한국 올림픽대표팀은 일본을 맞아 2골을 먼저 넣었지만 후반 중반부터 페이스를 잃으며 내리 3골을 내준채 역전패했다. 후반 초반까지 완벽하게 일본을 압도했던 경기였던 만큼 아쉬움이 큰 경기였다.

신 감독도 3골을 실점한 것 외에는 완벽한 경기를 했다"며 "아직 어린 선수들의 경험 부족인 것 같다"고 말했다.

축구팬들 사이에선 수비조직력에 대한 아쉬움의 목소리가 컸다. 수비 진영에서 선수들을 조율해야 할 '리더'가 없는 것이 문제라고 입을 모았다. 한 네티즌은 "수비에서 중심이 되는 선수가 없어 상대 분위기에 잘 말려 조직력이 무너지는 것"이라고 했고, 다른 네티즌도 "공격진들이 수비에 합세하지 않으면서 급격하게 수비 조직력이 붕괴됐다"고 패인을 분석하기도 했다.

또 다른 네티즌은 "2골을 먼저 넣다보니, 너무 쉽게 생각했을 수도 있다"며 "토너먼트인만큼, 신 감독이 후반 중반부터는 수비 쪽에 무게를 뒀어야 한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실제 이날 열린 기자회견에도 수비에 대한 지적이 나왔다. 하지만 신 감독은 본인의 철학인 공격축구에 대한 강한 집착을 보였다.

실제 신 감독은 이날 간담회에서 "이번 대회와 올림픽 같은 토너먼트에선 수비가 가장 중요하다"면서도 "그러나 오늘 경기에서도 1~2골을 더 넣었으면 일본을 더 압박했을 것이다. 보완할 것은 보완하겠지만 공격축구는 계속 할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하반기에도 IPO 대어 더 온다…공모주 기대감 여전
  • 유사투자자문업, 정보·운영 제각각…8월 자본법 개정안 시행에 당국 부담도 ↑ [유사투자자문업 관리실태]②
  • SK그룹, 2026년까지 80조 원 확보… AI·반도체 등 미래 투자
  • [타보니] “나랑 달 타고 한강 야경 보지 않을래?”…여의도 130m 상공 ‘서울달’ 뜬다
  • ‘토론 망친’ 바이든, 대선 후보 사퇴 결정 영부인에 달렸다
  • 허웅 '사생활 논란'에 광고서 사라져…동생 허훈만 남았다
  • 박철, 전 아내 옥소리 직격…"내 앞에만 나타나지 말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651,000
    • +0.12%
    • 이더리움
    • 4,739,000
    • -0.71%
    • 비트코인 캐시
    • 535,000
    • -1.83%
    • 리플
    • 663
    • -0.6%
    • 솔라나
    • 195,600
    • -2.1%
    • 에이다
    • 535
    • -3.25%
    • 이오스
    • 795
    • -3.99%
    • 트론
    • 177
    • +2.31%
    • 스텔라루멘
    • 127
    • -1.55%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050
    • -2.79%
    • 체인링크
    • 19,020
    • -3.5%
    • 샌드박스
    • 456
    • -4.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