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ㆍ19 평양선언]트럼프 “엄청난 진전”…2차 북미 정상회담 ‘급물살’

입력 2018-09-20 11:0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4일 한미 회담에 쏠린 눈…‘평양 공동선언’ 발표 한시간 만에 “빈에서 만나자”

폼페이오 ‘비핵화협상 재개’ 공식화…24일 한미회담, 협상성공 첫 단추

문, 트럼프에 ‘북 비핵화 의지’ 전달…美강경파ㆍ주변국 설득 적극 나설 듯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9일(현지시간) 9·19 평양선언에 대해 “북한에 엄청난 진전이 있었다”고 평가해 교착상태에 빠졌던 북·미 협상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무엇보다도 24일 뉴욕에서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이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기자들을 만나 “첫 임기(2021년 1월) 내 비핵화 완성을 목표로 북·미 간 근본적 관계 전환을 위한 협상에 즉시 착수하겠다”고 밝혔다.

미국은 스티븐 비건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와 북한 카운터파트의 비핵화 협상을 국제원자력기구(IAEA) 본부가 있는 오스트리아 빈에서 가능한 한 빨리 시작하자고 북측에 제안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은 이날 발표한 성명을 통해 이러한 일정을 밝혔다. ‘9·19 평양 공동선언’이 나온지 한 시간 만이다. 트럼프 대통령에 이어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3차 남북 정상회담의 성과를 인정하면서 북·미 협상 개시를 공식화한 것이다.

폼페이오 장관은 “우리는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미국과 IAEA 사찰단의 참관 아래 영변의 모든 시설을 영구히 해체하는 것을 포함,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싱가포르 공동성명을 재확인한 것을 환영한다”면서 “우리는 스티븐 비건 대북정책 특별대표와 오스트리아 빈에서 가능한 한 빨리 만날 것을 북한의 대표자들에게 요청했다”고 말했다.

이는 6·12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에서 채택된 공동성명의 합의 사항을 구체화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70년간의 북·미 간 적대 관계를 청산하고 비핵화와 평화체제로의 과정에 들어가겠다는 청사진이다.

북측이 빈 회담에 응하면 비핵화와 평화체제를 양대 축으로 한 북·미협상이 본궤도에 올라 한반도 정세는 새로운 전기를 맞을 전망이다.

이번 북·미협상 성공을 위한 첫 단추는 유엔총회를 계기로 24일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이다. 문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 김 위원장의 비핵화 의지를 전달하고 이를 미국이 얼마만큼 용인할 것인가에 따라 북미 정상회담의 성공을 장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문 대통령은 북한의 실질적 비핵화 이행조치와 종전선언을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교환할 수 있도록 트럼프 대통령을 설득할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김 위원장과 협의한 현재 보유 핵 폐기와 관련한 설명도 할 것으로 전망된다.

트럼프 대통령으로서도 11월 중간선거를 앞두고 있어 돌파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10월 중 북·미 정상회담을 조속히 추진해 비핵화 이행 조치를 큰 틀에서 완성하고 종전선언을 전격 발표한다면 선거를 유리하게 끌고 갈 수도 있다.

가장 큰 변수는 문 대통령이 어떤 메시지로 미국 내 강경파와 한반도를 둘러싼 이해관계를 가진 주변국들을 설득할 수 있는냐다. 문 대통령은 다양한 채널을 통해 미국 내 강경파 설득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또 적극적인 다자간 외교를 통해 한반도 비핵화 협조를 이끌어낼 것으로 예상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2기 무역전쟁 시작됐다...“삼성 등 압박·미국도 다친다”
  • "이 감성 못 잃어"…젠지 선택받은 브랜드들의 정체 [솔드아웃]
  • '나솔사계' 미스터 박, 환승이별 의혹 부인…"여자친구 잘못 없어, 나만 조롱해"
  • 카나나 공개 앞둔 카카오, AI 늦깎이 꼬리표 뗄까
  • 트럼프 열기 식어…1월 국내 가상자산 거래대금 30%↓
  • 단독 이커머스 1위 쿠팡, 연 1조 ‘테이블오더’ 시장 출사표
  • SK하이닉스 시총 16조 증발…딥시크 충격 언제까지
  • 커지는 딥시크發 ‘엔비디아’ 회의론…韓 AI 팹리스에도 기회 열리나
  • 오늘의 상승종목

  • 01.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4,151,000
    • -2.43%
    • 이더리움
    • 4,654,000
    • -5.94%
    • 비트코인 캐시
    • 582,500
    • -8.34%
    • 리플
    • 4,195
    • -7.82%
    • 솔라나
    • 320,200
    • -6.24%
    • 에이다
    • 1,281
    • -9.73%
    • 이오스
    • 1,034
    • -12.89%
    • 트론
    • 362
    • -6.7%
    • 스텔라루멘
    • 574
    • -7.72%
    • 비트코인에스브이
    • 66,650
    • -9.2%
    • 체인링크
    • 32,520
    • -10.29%
    • 샌드박스
    • 671
    • -12.6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