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투데이 말투데이] 군주신수 / 90 대 9 대 1 법칙 / 걸맞추기 원리

입력 2018-10-10 00: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조성권 멋있는 삶 연구소장

☆ 2천 년을 살아남은 명문/ 중국 춘추시대 진(秦) 목공(穆公)

“재주 많은 신하보다 성실한 신하가 낫다.”

☆ 군주신수(君舟臣水)

임금은 배요, 신하는 물이라는 뜻. 사공이 물의 성질을 잘 알아서 배를 잘 다루듯이 임금은 민심을 정확히 파악해 백성을 이끌어야 함을 말한다. 후한서에 나온다. 사공이 물의 흐름을 읽듯 윗사람은 아랫사람의 동향을 늘 파악해야 한다.

☆ 시사경제용어/ 90 대 9 대 1 법칙

인터넷 이용자의 90%는 관망하며, 9%는 재전송, 댓글로 확산에 기여하고, 1%만이 콘텐츠를 창출한다는 법칙. 쌍방향 소통이 가능할 것이라는 기대와 달리 영향력 있는 소수의 의견이나 자료가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는 현상을 가리킨다. 최근에는 1%의 최초 창출자가 만든 콘텐츠가 최소한의 검증작업 없이 인터넷 또는 SNS를 통해 순식간에 확산되고 유포돼 사회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 시사용어/ 통크족(TONK族)

자녀에게 부양받기를 거부하고 부부끼리 오붓하게 독립적으로 생활하는 노인세대. ‘Two Only No Kid’의 약칭.

☆ 걸맞추기 원리(Matching Principle)

사람들은 태도와 가치관이 유사한 사람들을 더 좋아한다. 인종, 종교, 문화, 정치, 사회계층, 교육 수준, 연령 등이 유사한 사람들을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더 좋아한다. 물론 전혀 어울릴 것 같지 않은 사람들이 친하게 지내는 경우가 있긴 하지만 예외일 뿐이다. 유사성의 원리(Principle Of Similarity)가 데이트나 결혼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걸맞추기 원리’라고 한다.

☆ 우리말 어원/ 들통 나다

들통은 옆에 손잡이가 달려 있는 쇠붙이나 법랑으로 만든 그릇을 지칭한다. 들통을 들어내면 그 자리에 있던 것이 드러난다는 데서 생긴 말이다.

☆ 유머/ 어떤 교수의 명강의

졸업을 앞둔 여학생이 찾아와 인사를 한다.

“교수님 덕분에 제 인생의 큰 항로가 결정되었습니다.”

교수는 너무 기뻐 물었다.

“아, 그래요? 내 강의 중 어떤 부분이 도움이 됐지?”

“그게 아니고요. 교수님 강의 시간에 약혼자를 만났거든요.”

채집/정리:조성권 국민대 경영대학원 객원교수, 멋있는 삶 연구소장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화제성 떨어지는 아시안게임, 'Z세대' 금빛 질주가 기 살렸다 [이슈크래커]
  • 단독 4대궁·종묘 관람객 지난해 1300만 '역대 최대'…외국인 첫 300만 돌파
  • '최강야구' 클로징, 하와이 전지훈련 확정…이번 시즌 MVP는?
  • 트럼프, 철강·알루미늄 관세 25% 부과 발표…“반도체·자동차도 검토”
  • 국내주식, 어디다 투자해야 할지 모르겠다면…국민연금 포트폴리오 참고해볼까 [경제한줌]
  • "대전 초등생 피습 가해교사, 교육청 현장 지도 나간 당일 범행"
  • 단독 첨단학과 '수도권 쏠림’ 사실로...경쟁률 지방의 3배 이상 [첨단인재 가뭄]
  • '2025 정월대보름' 부럼과 오곡밥을 먹는 이유 [그래픽 스토리]
  • 오늘의 상승종목

  • 02.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289,000
    • -1.46%
    • 이더리움
    • 3,958,000
    • -2.58%
    • 비트코인 캐시
    • 502,500
    • +0.68%
    • 리플
    • 3,678
    • -0.19%
    • 솔라나
    • 299,900
    • -1.64%
    • 에이다
    • 1,185
    • +11.06%
    • 이오스
    • 941
    • -3.49%
    • 트론
    • 367
    • -1.08%
    • 스텔라루멘
    • 487
    • +1.88%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450
    • -0.92%
    • 체인링크
    • 28,290
    • -0.81%
    • 샌드박스
    • 591
    • -1.8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