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천 년을 살아남은 명문/ 중국 춘추시대 진(秦) 목공(穆公)
“재주 많은 신하보다 성실한 신하가 낫다.”
☆ 군주신수(君舟臣水)
임금은 배요, 신하는 물이라는 뜻. 사공이 물의 성질을 잘 알아서 배를 잘 다루듯이 임금은 민심을 정확히 파악해 백성을 이끌어야 함을 말한다. 후한서에 나온다. 사공이 물의 흐름을 읽듯 윗사람은 아랫사람의 동향을 늘 파악해야 한다.
☆ 시사경제용어/ 90 대 9 대 1 법칙
인터넷 이용자의 90%는 관망하며, 9%는 재전송, 댓글로 확산에 기여하고, 1%만이 콘텐츠를 창출한다는 법칙. 쌍방향 소통이 가능할 것이라는 기대와 달리 영향력 있는 소수의 의견이나 자료가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는 현상을 가리킨다. 최근에는 1%의 최초 창출자가 만든 콘텐츠가 최소한의 검증작업 없이 인터넷 또는 SNS를 통해 순식간에 확산되고 유포돼 사회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 시사용어/ 통크족(TONK族)
자녀에게 부양받기를 거부하고 부부끼리 오붓하게 독립적으로 생활하는 노인세대. ‘Two Only No Kid’의 약칭.
☆ 걸맞추기 원리(Matching Principle)
사람들은 태도와 가치관이 유사한 사람들을 더 좋아한다. 인종, 종교, 문화, 정치, 사회계층, 교육 수준, 연령 등이 유사한 사람들을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더 좋아한다. 물론 전혀 어울릴 것 같지 않은 사람들이 친하게 지내는 경우가 있긴 하지만 예외일 뿐이다. 유사성의 원리(Principle Of Similarity)가 데이트나 결혼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걸맞추기 원리’라고 한다.
☆ 우리말 어원/ 들통 나다
들통은 옆에 손잡이가 달려 있는 쇠붙이나 법랑으로 만든 그릇을 지칭한다. 들통을 들어내면 그 자리에 있던 것이 드러난다는 데서 생긴 말이다.
☆ 유머/ 어떤 교수의 명강의
졸업을 앞둔 여학생이 찾아와 인사를 한다.
“교수님 덕분에 제 인생의 큰 항로가 결정되었습니다.”
교수는 너무 기뻐 물었다.
“아, 그래요? 내 강의 중 어떤 부분이 도움이 됐지?”
“그게 아니고요. 교수님 강의 시간에 약혼자를 만났거든요.”
채집/정리:조성권 국민대 경영대학원 객원교수, 멋있는 삶 연구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