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구 금융위원회 위원장이 1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금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의원들 질의에 답하고 있다.(연합뉴스)](https://img.etoday.co.kr/pto_db/2018/10/20181011165448_1257791_1199_836.jpg)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시중은행과 지방·특수은행 간 차등화된 총체적상환능력비율(DSR)을 적용하겠다"고 15일 밝혔다. 금융위원회는 18일 대출규제를 강화한 DSR 규제의 구체적인 시행안을 발표한다.
최 위원장은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 금융위원회 기자실에서 출입기자와 만나 "시중은행 평균 DSR이 52%, 지방은행이 123%, 특수은행이 128% 등 각 은행 간 DSR 편차가 상당하다"며 "이것을 일률적으로 조정했을 때 (후폭풍이) 만만치 않을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DSR은 가계대출 원리금 상환액을 모두 더해 소득으로 나눈 값이다. 연 소득 가운데 주택담보대출과 기타대출 원리금을 갚는 데 얼마를 쓰는지를 보여준다.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에서 이자만 따졌던 예전 총부채상환비율(DTI)보다 대출심사가 깐깐해진 셈이다. 은행권은 3월부터 DSR을 시범 운영해왔다.
금융위는 위험도가 높은 고(高) DSR 기준을 정하고, 고 DSR을 전체 대출에서 얼마나 허용할지를 공개한다. 가계부채를 관리하기 위해서다. 최 위원장은 다만 "DSR은 담보인정비율(LTV)이나 DTI와 달리 일정 기준을 넘어도 대출을 일률적으로 금지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DSR은 전체 규제 비율을 초과해도 금융회사 자율적 판단에 따라 대출 취급이 가능하다"고 했다.
관련 뉴스
새희망홀씨와 바꿔드림론 등 서민금융상품은 DSR 적용대상에서 제외하기로 했다. 최 위원장은 "DSR에서 제외하는 서민금융상품을 좀 더 확대하는 등 (금융소외계층) 추가 배려방안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부동산 임대사업자를 대상으로 한 이자상환비율(RTI) 규제 강화 방안도 마련한다. RTI는 대출을 받으려는 부동산의 연간 임대소득을 이자 비용으로 나눈 값이다. 정부는 RTI 관련 현재 아파트 등 주택은 1.25배, 상가 등 비주택은 1.5배라는 지침을 제시하고 있다. 최 위원장은 "금감원이 4개 은행을 점검한 결과 대부분 은행이 RTI 규제 관련 가이드라인 준수가 상당히 미흡했다"며 "RTI 예외한도를 지나치게 높게 설정했다"고 지적했다. 기준에 미달해 대출을 거절한 사례가 단 한 건도 없었다고 한다. 그는 "임대사업자에게 대출해줄 때 상환 능력 검증 없이 대출해준 것 아니냐는 문제의식을 갖고 RTI 비율과 예외취급 한도를 관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 위원장은 "한국은 가처분 소득 대비 가계부채가 세계적으로 높은 나라"라며 "주택시장 예대율 규제 같은 정책 수단과 함께 DSR이 기여하도록 합리적인 관리 기준을 설정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