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폭이 둔화되며 안정세를 찾아가고 있다.
9.13 대책 발표 이후에도 꿈쩍하지 않던 매도자들이 거시경제 변수들의 불확실성이 높아지자 호가를 낮춘 매물을 내놓고 있다. 금주 서울 아파트 매매와 전세가격은 모두 0.00% 보합세를 보이며 진정국면에 들어섰다. 반면 신도시는 중동, 분당, 광교 역세권 아파트 위주로 가격이 오르며 0.04% 상승했고 경기와 인천도 0.02% 올랐다.
한편 부동산114 REPS 자료에 따르면 9.13 대책 발표 이후 두 달간 서울 자치구별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을 분석한 결과노원이 3.30%로 가장 높은 변동률을 기록했으며 이어 구로(2.48%), 관안(2.38%), 성북(2.27%) 등의 순이었다. 그동안 가격 상승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됐던 서남과 동북권이 크게 오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9.13대책 이전 가격 상승폭이 가팔랐던 송파(1.13%), 강남(1.09%), 동작(0.94%), 용산(0.52%) 등은 상대적으로 오름폭이 줄었다.
전세시장도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서울이 지난주에 이어 0%의 보합세를 보였고 신도시는 위례와 동탄 등 신규 도시의 아파트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하락하며 0.01% 떨어졌다. 경기와 인천도 보합세를 보였다.
이와 같은 자료는 부동산 통계 분석 솔루션 부동산114 솔루션 REPS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REPS는 전국 부동산 공급동향, 가격동향을 시계열로 한 눈에 파악 가능하고 상품정보를 제공받아 시장분석과 향후 트렌드 등 예측 가능하다. 현재 공공기관, 금융기관, 건설업종 등에서도 이미 사용 되고 있는 솔루션으로 무료 체험 신청은 부동산114 홈페이지를 통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