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금융대전] 연 5% 발행어음 특판...유망 투자상품 ‘한자리에’

입력 2019-07-03 15:06 수정 2019-07-04 09:5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저금리 박스권 시장이 지속되면서 우량 투자처에 대한 투자자들의 니즈가 커지고 있다.

오는 17일부터 이틀간 서울 강남 코엑스에서 열리는 이투데이 '제6회 대한민국 금융대전'에서는 주요 증권사들의 대표 상품과 서비스를 만나볼 수 있다. 특히 양질의 투자상품과 서비스에 대해 직접 설명을 듣고 투자할 수 있는 다양한 행사가 마련된다.

우선 행사 기간에 NH투자증권에서는 연 5% 금리를 제공하는 1년짜리 적립형 발행어음(NH투자증권 ‘NH QV발행어음’)을 특별 판매한다. 행사 첫날(17일) 오전 11시부터 선착순 1000명에게 쿠폰을 지급한다. 한도는 1인당 월 최대 50만 원, 1년간 총 600만 원까지다. 발행어음은 증권사가 지급을 약속하고 자체 신용으로 발행하는 단기 금융상품을 말한다. 최대 만기는 1년 이내로 만기 시 투자 기간에 따른 약정 수익률을 적용한 수익을 지급한다.

신한금융투자 부스에서는 ‘플랜yes 해외주식 적립식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플랜yes 해외주식 적립식 서비스’는 자동으로 환전하고 해외주식을 매수한 뒤 원하는 목표수익률에 매도까지 해주는 스마트한 해외주식 적립식 서비스다. 미국시장에 상장된 섹터별 주요 상장지수펀드(ETF)와 신한금융투자 리서치센터가 추천하는 유망 미국 종목을 적립식으로 매수할 수 있다. 소수점 적립 플랜을 신청할 경우 주당 220만 원이 넘는 아마존과 같은 고가 우량주도 소액으로 투자가 가능하다. 이번 행사에서는 업계 최저수준인 0.1%의 수수료로 이용할 수 있다.

미래에셋대우 부스에서는 글로벌X 포트폴리오 자문형랩을 판매한다. 이 상품은 미래에셋자산운용의 미국 자회사인 글로벌X가 미래에셋자산운용(한국)에 직접 자문을 하는 형태다. 미래에셋자산운용과의 협업을 통해 국내 투자자들에게 적합한 ETF 포트폴리오 솔루션을 제공한다. ‘글로벌 X 포트폴리오 자문형랩’은 유형 안에 구성된 3가지 포트폴리오(혁신성장, 인컴, 밸런스드) 중에서 한 개의 포트폴리오를 선택해 투자하는 글로벌 랩어카운트로, 투자 성향에 따라 전략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망곰이 유니폼, 제발 팔아주세요"…야구장 달려가는 젠지, 지갑도 '활짝' [솔드아웃]
  • "돈 없어도 커피는 못 참지" [데이터클립]
  • 네이버웹툰, 나스닥 첫날 9.52% 급등…김준구 “아시아 디즈니 목표, 절반 이상 지나”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故 구하라 금고털이범, 버닝썬 사건과 연관돼 있을 가능성 있어"
  • 임영웅, 레전드 예능 '삼시세끼' 출격…"7월 중 촬영 예정"
  • 방탄소년단 '활중' 미리 알고 주식 판 하이브 직원들…결국 법정행
  • 9월까지 김포골드라인 열차 5대 증편, 배차간격 줄여 수송력 20%↑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12:11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770,000
    • +0.87%
    • 이더리움
    • 4,848,000
    • +1.44%
    • 비트코인 캐시
    • 544,500
    • +2.74%
    • 리플
    • 666
    • +0.6%
    • 솔라나
    • 206,500
    • +6.83%
    • 에이다
    • 550
    • +2.04%
    • 이오스
    • 824
    • +1.98%
    • 트론
    • 171
    • -1.72%
    • 스텔라루멘
    • 129
    • +1.57%
    • 비트코인에스브이
    • 64,100
    • +2.89%
    • 체인링크
    • 20,230
    • +3.69%
    • 샌드박스
    • 477
    • +2.1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