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etoday.co.kr/pto_db/2019/12/20191210163326_1400139_600_248.jpg)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주요 시중은행들은 내년 자기자본이익률(ROE) 전망치를 2%포인트가량 낮춰 잡은 것으로 파악된다. 지난 3분기 기준으로 9~10% 수준인 것을 감안하면 7%대까지 떨어질 것을 예상하고 있다는 의미다. ROE는 투자된 자본을 사용해 어느 정도 이익을 올리는지 나타내는 대표적 수익성 지표로 활용된다.
시중은행들은 경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지점 구조조정에 속도를 내고 있다.
KB국민·신한·우리·KEB하나·NH농협은행 등 5개 은행이 올해 46개의 지점을 신설한 반면, 77곳을 폐쇄했다.
신한은행은 내년 2월 3일부터 서울 PMW강남대로센터와 테헤란로기업금융센터, 분당 수내동 지점 등 3곳을 인근 지점으로 통폐합하기로 했다. KB국민은행은 군산시청점을 올해까지만 운영하고 내년 1월 2일부터는 군산종합금융센터로 통합한다. 우리은행도 서울 공릉역지점과 서울교통공사 출장소를 올해까지 운영한다. KEB하나은행은 2일 서울 발산역 등 3개 지점을 통폐합했다. 30일부터는 서울 역삼, 테크노마트점 등 16개 지점도 인근 영업점과 합친다.
관련 뉴스
디지털화 흐름에 맞춰 비대면거래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내년에도 지점 통폐합 추세는 계속될 전망이다. 저금리 기조에 경기 부진, 수수료 수입 감소 등으로 경영환경은 악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 은행 관계자는 “은행권에서는 올해가 마지막 호황일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라며 “내년에는 ‘마른 수건 쥐어짜기’가 이어지면서 지점 통폐합은 올해와 비슷하거나 더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은행들이 지점 구조조정에 나서는 사이 직원 인건비와 복리후생비, 퇴직급여충당금, 영업점 임차료 및 지점 물건비 등을 포함한 일반관리비는 늘었다. 4대(국민·신한·우리·KEB하나) 은행의 일반관리비는 올해 3분기 9조4747억 원에 달했다. 작년 8조8042억 원보다 7.6% 급증했다.
비용절감을 위해 은행들은 희망퇴직 신청을 받기로 했다.
농협은행은 지난달 26일부터 3일간 희망퇴직 접수를 받아 590명이 신청을 마쳤다. 이번 희망퇴직 신청 대상자는 만 56세 해당 직원, 전 직급을 대상으로 10년 이상 근무한 만 40세 이상의 직원이다.
KEB하나은행도 올해부터 연간 2차례 고연령 장기 근속직원을 대상으로 ‘준정년 특별퇴직’을 실시하고 있다. 만 40세 이상, 근속기간 15년 이상 직원이 대상이다. 2017년 말과 올해 초에는 임금피크제 직원이 남은 연봉을 한 번에 받고 회사를 떠나는 임금피크제 특별퇴직도 실시했다. 하나은행은 10일 치러지는 노조 선거를 통해 새로운 노조 집행부와 연말 희망퇴직을 논의할 예정이다.
신한은행은 현재 노사 간 임금단체협상이 진행 중이라 이 협상이 끝나면 1월 중 희망퇴직을 진행할 계획이다.
24일 노조 선거를 앞둔 국민은행은 새 집행부가 결정되면 노사 간 희망퇴직 논의에 들어갈 예정이다. 우리은행은 연임에 성공한 박필준 노조위원장 집행부와 희망퇴직 조건과 규모를 협의 중이다.
한 은행 관계자는 “금리 하락, 경기 둔화, 대출규제 강화 등 은행을 둘러싼 경영 여건이 악화되고 있다”며 “줄일 수 있는 비용은 최대한 줄이며 실적을 방어하고 내실을 다지려고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