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통계청)](https://img.etoday.co.kr/pto_db/2020/06/20200618110916_1474003_1146_363.png)
소득·자산과 여가시간이 늘고 근로시간은 줄었지만, 우리 국민이 주관적으로 느끼는 ‘삶의 질’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18일 발표한 ‘2019 한국의 사회지표’에 따르면, 지난해 고용률은 60.9%로 전년보다 0.2%포인트(P) 올랐으며, 실업률은 3.8%로 전년과 같았다. 취업자의 주 평균 취업시간은 임금·비임금 근로자 모두 전년보다 감소했다. 임금근로자는 35.9시간, 비임금근로자는 46.8시간으로 전년보다 각각 0.7시간, 0.3시간 줄었다. 반면 여가시간 충족도는 평일 53.1%로 6.8%P, 휴일 65.1%로 6.5%P 각각 높아졌다. 평균 여가시간은 평일 3.5시간, 휴일 5.4시간이었는데, 평일은 여자의 여가시간(3.6시간)이, 휴일은 남자의 여가시간(5.7시간)이 더 많았다.
소득·소비·자산도 꾸준한 증가세다. 지난해 가구 평균 순자산액은 전년보다 2.7% 증가한 3억 5281만 원이었으며, 19세 이상 성인의 소득 만족도는 14.1%, 소비생활 만족도는 16.8%로, 2017년과 비교하여 각각 0.8%P, 1.4%P 올랐다. 지난해 최저 주거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가구 비율도 5.3%로 0.4%P 낮아졌으며, 우리나라의 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율(PIR)은 전년 5.5배보다 소폭 감소한 5.4배로, 2017년 이후 감소 추세다. 단 소득 대비 주택임대료 비율(RIR)은 16.1%로 전년보다 0.6%P 올랐다. 2014년 이후 계속 감소하다 5년 만에 증가로 전환됐다.
물질적 풍요에도 불구하고, 우리 국민의 주관적인 삶의 질은 하락했다.
관련 뉴스
사회적 고립감을 느낀 비율은 2018년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다 지난해 증가로 전환됐다. ‘외롭다’는 응답은 20.5%, ‘아무도 나를 잘 알지 못한다’는 응답은 16.7%로 전년보다 각각 4.5%P, 5.4%P 급등했다. 자신의 삶에 만족하는 사람의 비율도 60.7%로 3.0%P 하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