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잉원 대만 총통이 지난달 10일 타이페이에서 열린 대만 국경적 기념식에 참석해 기조 연설을 하고 있다. 타이페이/AP뉴시스](https://img.etoday.co.kr/pto_db/2020/11/20201125155326_1545253_1200_846.jpg)
25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주펑롄 중국 국무원 대만사무국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이 같은 내용을 밝혔다. 다만 “이번 명단은 일부 극소수의 대만 독립운동가와 그 후원자를 대상으로 한 것이지, 대다수 대만 동포들을 대상으로 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중국 정부가 대상으로 하는 부류는 △독립을 모색하는 듯한 언행을 하고 악의적 행동을 하는 자 △대만 섬 내외를 넘나드는 분리독립 활동 조직의 지도자 △이러한 부류를 후원하는 자 등이다.
중국의 이번 발언은 미국 해군 소장이 대만을 방문했다는 소식이 전해진지 사흘 만에 나왔다. 앞서 22일(현지시간) CNN방송은 소식통을 인용해 마이클 스튜드먼 미국 해군 소장이 전날 대만을 방문했고, 대만 외무부는 이에 환영의 뜻을 보였다고 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지난달 두 차례 걸쳐 41억 달러(약 4조5572억 원)에 달하는 군용 무기를 대만에 판매한 반면, 지난주엔 중국 인민해방군을 지원하는 중국 기업에 대한 미국인 투자를 금지하는 행정 명령을 승인하는 등 대만을 돕고 중국을 압박하는 스탠스를 고수하고 있다.
관련 뉴스
이에 중국은 군용기로 대만의 방공식별구역(ADIZ)을 침범하는 등의 도발로 맞받아치고 있다.
현재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대만에 ‘일국양제(하나의 국가, 두 개의 제도)’를 주장하고 있지만, 차이잉원 대만 총통이 이를 거부하고 독립성을 주장하면서 양국이 갈등을 빚는 상황이다.
블룸버그는 “중국 공산당은 대만을 전혀 통제하지 못하고 있음에도 자국 영토의 일부로 바라보고 있다”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