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이호승 발언 통화정책 아닌 가계부채 언급한 것..입장 낼 필요성 느끼지 않는다”

입력 2021-08-24 09:48 수정 2021-08-25 10:1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호승(왼쪽) 청와대 정책실장이 2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호승(왼쪽) 청와대 정책실장이 2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어제 이호승 청와대 정책실장이 ‘통화정책 정상화’라고 발언한 것은 맞다. 다만 ‘어느 정도 선제적으로 조정돼야 한다’는 대상은 통화정책이 아닌 가계부채를 언급한 것이다. 정책실장이 통화정책에 대해 언급한 것도 아니고, 기준금리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황도 아니라고 판단된다. 한은은 입장을 낼 필요를 느끼지 않는다. 또, 통화정책 결정이 임박한 블랙아웃 피리어드(묵언기간)라서 따로 더 말할 것이 없다.”

24일 한국은행 고위관계자를 포함한 다수의 관계자들이 이같이 밝혔다.

앞서 전날 이호승 실장은 국회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가계부채와 통화정책 정상화와 관련해 언급했다. 이 과정에서 한 언론은 그의 언급을 “가계부채가 급증하고 있다. 통화정책 정상화로 조정돼야한다”는 취지로 보도했다.

이와 관련해 앞선 한은 관계자는 “가계부채의 조정을 언급한 것을 이 언론이 통화정책 조정으로 오해해 기사를 썼다. BH(청와대)에서 설명을 해 기사가 수정됐다고 한다”고 설명했다.

이같은 보도에 채권시장은 전날부터 반응했다. 통화정책에 민감한 단기물 금리가 오른 것이다. 오늘도 오전 9시46분 현재 국고채 3년물 금리는 2.7bp 상승한 1.424%를 기록 중이다.

한편 한은은 26일 8월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를 결정할 예정인 가운데 그 어느때보다 인상과 동결 전망이 팽팽한 상황이다. 우선 인상을 예상하는 측에서는 부동산 등 자산버블과 가계부채, 4%를 기록할 것으로 보이는 경제성장률, 2%대를 넘고 있는 소비자물가와 기대인플레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있다. 반면, 동결을 예측하는 측에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확진자수가 49일째 네자릿수대를 기록하고 있으며, 거리두기도 7월 금통위 당시보다 강화됐다는 점을 꼽고 있다.

지난달 금리인상 소수의견을 냈던 고승범 전 위원이 금융위원장 내정으로 20일 중도 사퇴하면서 8월 금통위 전망에 대한 셈법은 더 복잡해졌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무안 제주항공 참사 희생자, 오늘 첫 발인식 엄수
  • 초고령사회 원년 2025…"노인 증가에 맞는 변화 필요"[노인을 위한 나라는 있다①]
  • "유튜브 생중계로 보고 있다" 지지자들에게 전한 윤석열의 메시지
  • CES 2025 출격하는 이통3사…‘AI 기업’ 전환에 박차
  • 저축은행 예금금리도 3.3%대…시중은행 수준으로 '뚝'
  • 환율 어디까지 올라가나…‘강달러’에 계산기 두드리는 콘텐츠업계
  • 기술수출에 실적까지…K바이오, 성과 ‘쑥쑥’…올해도 맑음
  • 푸바오 방사장은 차오차오 방사장으로…'비공개 구역'으로 옮겼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1.02 12:1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1,899,000
    • +1.22%
    • 이더리움
    • 5,065,000
    • +0.96%
    • 비트코인 캐시
    • 682,500
    • +4.76%
    • 리플
    • 3,595
    • +14.49%
    • 솔라나
    • 296,000
    • +3.75%
    • 에이다
    • 1,406
    • +10.19%
    • 이오스
    • 1,219
    • +5.09%
    • 트론
    • 384
    • +0.26%
    • 스텔라루멘
    • 648
    • +28.06%
    • 비트코인에스브이
    • 77,350
    • +2.04%
    • 체인링크
    • 32,720
    • +8.89%
    • 샌드박스
    • 869
    • +6.6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