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 산업재해 사고사망자가 전년 동기에 비해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업과 기타업종은 줄었지만, 제조업에선 되레 늘었다.
고용노동부는 5일 발표한 ‘2022년 1분기 재해조사 대상 사망사고 현황’에서 1분기 사고사망자가 157명으로 전년 동기보다 8명 줄었다고 밝혔다. 산업별로 건설업(78명)과 제조업(51명) 쏠림이 여전했다. 특히 건설업과 기타업종에선 각각 7명, 8명 줄었지만, 제조업에선 7명 늘었다. 사고사망자 중 제조업 비중은 32.5%로 전년 동기(26.7%)보다 5.8%포인트(P) 커졌다.
재해 유형별로 떨어짐(56명), 끼임(21명) 등 기본적인 안전조치 이행으로 예방 가능한 2대 재래형 사고 비중은 49.1%로 15.2%P 축소됐다. 반면, 무너짐(14명), 화재·폭발(11명) 등 유해·위험요인 복합작용에 의한 사고 비중은 15.9%로 8.4%P 확대됐다. 사고 원인별로는 작업지휘자 지정 등 작업절차·기준 미수립이 59건(25.3%)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안전난간 등 추락 방지조치 미실시(40건), 위험기계·기구 안전조치 미실시(29건) 순이었다.
제조업에선 사고사망자 절반 이상이 50인 이상 기업에서 발생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해 300인 이상, 5인 미만 기업에서 사망자가 늘었다. 제조업 사망자 중 31.4%는 끼임 사고였다. 제조 및 가공시설·기계가 가장 많았다. 건설업은 50억 원 미만 소규모 현장 사례가 절반을 넘었다. 800억 원 이상 현장에선 14명이 숨졌는데, 이 중 6명은 1월 발생한 HDC 현대산업개발 아파트 붕괴사고 사망자다. 기인물별로는 건축·구조물이 60% 이상을 차지했다.
한편, 고용부가 고위험 사업장 3934개소를 대상으로 1분기 산업안전보건감독을 실시한 결과, 45.3%에서 산업안전보건법 위반사항이 적발됐다. 고용부는 156개소를 사법처리했으며, 994개소에 대해선 과태료를 부과했다. 고용부는 대전·충청과 광주·전라 지역에 중대재해 위험경보를, 부산·울산·경남과 대구·경북 지역에 중대재해 주의보를 발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