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후 아태지역 미래 논의
일부 국가는 러시아 사태 합의 발표
미국, 아태지역에서 영향력 강화
![(사진=산업통상자원부)](https://img.etoday.co.kr/pto_db/2022/05/20220510085355_1750223_724_410.jpg)
정부가 코로나19로 3년 만에 대면 개최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통상장관회의에 참석했다. 코로나19 이후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미래를 논의하는 자리로 미국을 비롯한 일부 국가들은 러시아 사태와 관련한 공동 합의도 이끌어냈다.
안성일 산업통상자원부 신통상질서전략실장은 21~22일 이틀간 태국 방콕에서 개최된 제28차 APEC 통상장관회의에 참석, 공급망 안정성, 기후변화 대응, 디지털 전환 등 신통상 이슈를 중심으로 APEC의 도약과 포용성 강화 방안을 제시했다.
APEC의 주요 목표인 FTAAP(아시아 태평양 자유무역지대)와 관련해서 차세대 통상 이슈를 논의에 반영하고, RECP(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 등 활발한 지역 무역협정 참여를 강조했다. 또 민관을 아우르는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 활성화를 통해 현실경제와 접점을 높이기로 했다.
코로나19 이후 지속할 수 있는 포용적인 미래를 위해 핵심 원부자재의 공급망에 대해 전략적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또 디지털 통상 규범 마련과 기후변화 위기에 대한 공동대응도 협의했다.
관련 뉴스
APEC 회의 후 미국을 비롯한 일부 국가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해 러시아의 무력침공 규탄, 에너지 안보 악화에 대한 우려, 즉각적 철군 요구 등이 담긴 공동 언론보도문에 합의했다. 미국은 최근 IPEF(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 추진 등 러시아와 중국을 배제한 채로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영향력을 넓히고 있다.
해당 보도문은 APEC 전체의 합의는 아니지만,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해 공동의 목소리를 닌 것이다.
한국 정부는 호주, 뉴질랜드, 필리핀 등 주요 APEC 국가와 양자 면담도 진행했다. IPEF에 대한 각국의 참여 여부와 양자 협력의 필요성, CPTPP(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 동반자 협정) 가입을 추진하겠다는 의견 등을 전달했다. 또 2030년 부산 세계박람회(EXPO) 유치에 대한 지지를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