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구권, 5일부터 석유제품에도 상한제 적용
푸틴, OPEC+ 회의 앞두고 사우디 왕세자와도 통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30일(현지시간) 화상회의를 하고 있다. 모스크바(러시아)/타스연합뉴스](https://img.etoday.co.kr/pto_db/2023/01/20230131143443_1847006_500_334.jpg)
30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이날 러시아 정부는 자국 석유 수출 기업들과 세관 당국이 서방 가격상한제를 준수하는 것을 금지한다고 발표했다. 정부 지침에 따라 러시아 기업 및 개인은 계약 시 서방의 가격 상한을 적용해서는 안 된다. 가격 상한 적용 시도는 세관 당국과 에너지부에 보고해야 한다. 세관은 가격 상한이 적용된 상품 수출을 금지한다.
이는 러시아산 원유 가격 상한제를 도입한 국가와 기업에 원유 및 석유제품 판매를 금지한 대통령령을 뒷받침하는 후속 조치로 내달 1일부터 5개월간 시행된다.
주요 7개국(G7)과 유럽연합(EU), 호주는 지난해 12월 5일 러시아산 원유에 가격상한제를 적용했다. 원유가 배럴당 60달러 이하(약 7만4000원)로 거래됐을 때만 보험 및 금융 서비스 등을 받을 수 있다. 다음 달 5일부터 러시아산 석유제품에 대해서도 가격 상한을 둘 예정이다.
푸틴 대통령은 이날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와 전화통화를 하고 유가 안정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산유국 협의체인 석유수출국기구(OPEC)플러스(+)의 올해 첫 회의를 앞두고 서방 제재를 약화하기 위해 협력을 당부한 것이다. 소식통은 OPEC+가 다음 달 1일 열리는 장관급 감시위원회(JMMC) 화상회의에서 기존 생산 정책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앞서 OPEC+는 지난해 10월 회의에서 11월부터 산유량을 하루 200만 배럴 감산하기로 결정했고 지금까지 이런 방침을 유지했다.
관련 뉴스
한편 영국 최대 석유 기업 BP는 이날 보고서를 통해 석유·석탄 등 화석연료가 차지하는 비중이 2019년 80%에서 2050년 20~55%까지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BP는 석유 수요가 향후 10년간 정체돼 있다가 감소세로 접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신흥국 석유 수요가 늘고 있지만 전기차 보급 등으로 수요 증가가 상쇄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반면 태양광·풍력 등 재생 에너지 비중은 2019년 10%에서 2050년 35~65%로 확대될 것으로 BP는 예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