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행동 10년' 중간 점검…22~25일 뉴욕서 'UN 물 총회' 열려

입력 2023-03-22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화진 환경부 장관, 기조연설 통해 한국의 통합물관리·물산업 육성 소개

▲한화진 환경부 장관 (사진제공=환경부)
▲한화진 환경부 장관 (사진제공=환경부)

전 세계의 물관리 상황을 점검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정부는 이 자리에서 기후 위기에 맞춰 신속한 대응을 강조하고 한국의 통합 물관리와 물 산업 육성 등을 알릴 예정이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22~25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UN 본부에서 열리는 ‘2023 UN 물 총회(Water Conference)'에 참석한다.

이번 총회는 1977년 아르헨티나의 마르 델 플라타(Mar del Plata)에서 UN 내 물 관련 논의를 처음 시작한 이후 46년 만에 열리는 UN 물 공식회의로, 네덜란드와 타지키스탄 정부가 공동으로 주최한다.

총회는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물 행동 10년(2018~2028)의 이행에 대한 중간 점검을 위한 자리로, UN 회원국 정부, UN·국제기구, 학계·비정부기구(NGO)·기업 등 물 관련 이해관계자가 참여한다.

우리는 환경부, 한국수자원공사, 아시아물위원회, 유네스코 물 안보 국제연구교육센터, 유네스코 정부간수문프로그램 한국위원회, 한국물포럼, 한국환경연구원 등으로 정부 대표단을 꾸렸다.

단장인 한 장관은 △본회의 기조연설 △'물 분야 지속가능개발목표(SDG6)' 달성 촉진 정부 간 세미나' △'과학 기반 글로벌 물 평가' 고위급 회의 △환경부-세계자연보전연맹(IUCN)-한국수자원공사 업무협약 △주요 국가 및 국제기구와의 양자 면담 등의 일정을 소화한다.

한 장관은 기조연설을 통해 최근 기후 위기로 인한 홍수, 폭염, 가뭄 등 물 재해의 심각성을 언급하고, 가속화하는 기후 위기에 맞춰 우리의 대응도 빠르게 변화해야 함을 강조할 예정이다.

또 UN의 '물 분야 지속가능개발목표' 달성을 위해 통합물관리, 홍수·가뭄 대응, 스마트 물관리, 물산업 육성 등 우리가 추진하는 정책과 기술을 국제사회에 소개한다.

이와 함께 국제기구와의 협력사업 및 '녹색 공적개발원조(그린 ODA)' 등 개발도상국 지원 확대 등을 약속하며, 국제사회에서 우리나라의 역할을 강조할 계획이다.

특히 한 장관은 행사기간 중 주요 국가 장관 등과 양자 면담을 통해 국가 간 협력과제를 도출하고, 물산업 등 녹색산업 해외 진출 지원활동을 병행한다. 베트남, 인도네시아, 우즈베키스탄, 사우디아라비아 등 해외 진출기업이 추진 중인 사업이 있는 국가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할 계획이다.

또 23일 미국에 진출한 물 관련 우리 기업 관계자와 오찬 간담회를 열고 환경부의 물산업 진출 지원방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한 장관은 "이번 물 총회는 약 50년 만에 물을 주제로 개최되는 의미 있는 자리로, 물 분야 지속가능개발목표 달성을 위한 우리나라의 역할을 확대해 국제사회에서의 위상을 높일 것"이라며 "우리나라의 우수한 물관리 역량 등을 홍보해 물산업 등 녹색산업 진출을 위한 발판으로 삼겠다"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큰손’ 국민연금 美주식 바구니 'M7' 팔고 '팔란티어' 담았네
  • 금 뜨자 주목받는 은…"아직 저렴한 가격"
  • 단독 ‘백약이 무효’ 작년 상반기 보험사기액 6028억…올해 최대치 경신 전망
  • 상승 재료 소진한 비트코인…9만6000달러 선에서 횡보 [Bit코인]
  • [날씨] 다시 찾아온 '추위'…아침 최저 -8도
  • 트럼프 “러·우 둘다 싸움 멈추길 원해…푸틴과 매우 곧 만날 것”
  • 법인 가상자산 진출 '코인마켓'에 기회 …은행 진출 '마중물'
  • 故 김새론 비보에 애도 물결…"작품 속 딸로 만나 행복했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2.17 10:40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263,000
    • -1.31%
    • 이더리움
    • 4,028,000
    • -0.84%
    • 비트코인 캐시
    • 497,100
    • -1.07%
    • 리플
    • 4,150
    • -1.4%
    • 솔라나
    • 284,500
    • -2.7%
    • 에이다
    • 1,191
    • +1.53%
    • 이오스
    • 962
    • -0.72%
    • 트론
    • 363
    • +1.11%
    • 스텔라루멘
    • 524
    • -0.57%
    • 비트코인에스브이
    • 60,050
    • +1.18%
    • 체인링크
    • 28,310
    • -0.6%
    • 샌드박스
    • 598
    • +0.6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