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회장, 3년 만에 중국 방문…삼성전기 톈진 MLCC 생산 현장 점검

입력 2023-03-26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 회장, MLCC 시장 선점 적극 대응 주문…현지 근무자 격려
천민얼 텐진(天津)시 서기와 면담…중국발전고위급포럼 참석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24일 중국 텐진에 위치한 삼성전기 사업장을 방문해 MLCC 생산 공장을 점검하고 있다.  (제공=삼성전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24일 중국 텐진에 위치한 삼성전기 사업장을 방문해 MLCC 생산 공장을 점검하고 있다. (제공=삼성전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2020년 산시성 삼성전자 시안 반도체 공장 이후 3년 만에 중국을 방문해 현지 사업 현장을 점검했다.

26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이 회장은 24일 중국 톈진(天津)에 위치한 삼성전기 사업장을 방문해 전자부품 생산 공장을 점검하고 삼성 계열사 임직원들과 간담회를 했다.

이 회장은 2020년 5월 중국 산시성 삼성전자 시안 반도체 사업장 방문 이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중국을 찾지 못했다.

이 회장은 삼성전기 톈진 공장에서 2021년 가동을 시작한 MLCC(적층세라믹캐피시터) 생산 라인을 살펴보고 현장 근무자들을 격려했다.

MLCC는 전자 회로가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전류 흐름을 일정하게 조절하고 부품 간 전자파 간섭을 막아주는 핵심 부품으로 전자제품 대부분에 사용된다.

특히 MLCC는 전장 분야의 수요가 늘고 있다. 일반 내연기관 자동차의 경우 동력전달·안전·주행·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등에 약 3000개~1만 개의 MLCC가 탑재되며 전기차에 약 2만 개가 쓰인다. 현재 삼성전기는 ADAS(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 ABS(잠김방지 브레이크 시스템), 파워트레인(동력장치) 등에 사용하는 다양한 전장용 MLCC를 미래 먹거리로 낙점하고 생산 중이다.

이 회장이 방문한 삼성전기 톈진 공장은 부산사업장과 함께 글로벌 시장에 IT(정보기술)·전장용 MLCC를 공급하는 주요 생산 거점 중 한 곳이다. 삼성전기는 1988년부터 MLCC를 개발·생산해 왔으며, 전기차 및 자율주행 기술 발달과 더불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전장용 MLCC 시장에 대응하기 위해 2018년 톈진 MLCC 2공장을 건설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24일 중국 텐진에 위치한 삼성전기 사업장을 방문해 MLCC 생산 공장을 점검하고 있다.  (제공=삼성전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24일 중국 텐진에 위치한 삼성전기 사업장을 방문해 MLCC 생산 공장을 점검하고 있다. (제공=삼성전자)

이 회장은 2020년과 2022년에 삼성전기 부산사업장을 방문해 전장용 MLCC 등 미래 시장 선점을 위한 적극적인 대응을 주문한 바 있다. 이 회장은 2020년 당시 "선두에 서서 혁신을 이끌어가자"며 "불확실성에 위축되지 말고 끊임없이 도전하자"고 당부했다.

삼성은 부산을 MLCC용 핵심 소재 연구개발 및 생산을 주도하는 '첨단 MLCC 특화 지역'으로 육성하고 톈진은 전장용 MLCC 주력 생산 거점으로 지속 운영할 계획이다.

이 회장은 이날 공장 방문에 앞서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삼성전기, 삼성SDI 소속 톈진지역 주재원 및 중국 법인장들을 만나 해외 근무 애로사항을 경청하고 격려했다.

최근 수년간 코로나 팬데믹으로 중국과 한국 간 인적·물적 교류가 제약을 받는 상황 속에서도 톈진을 비롯한 중국 지역 주재원 및 임직원들은 공급망 차질 최소화에 주력해 왔다. 톈진에는 삼성전기 MLCC·카메라모듈 생산 공장, 삼성디스플레이 스마트폰용 OLED 모듈 생산 공장이 있으며 삼성SDI는 스마트 기기·전기차 등에 사용되는 2차 전지를 생산 중이다.

한편 이 회장은 중국 베이징 댜오위타이(釣魚台)에서 '경제 회복 : 기회와 협력'을 주제로 25일 열린 '중국개발포럼'(CDF)에 참석했다. 이 회장은 베이징 댜오위타이(釣魚臺) 국빈관에 도착한 뒤 기다리고 있던 한국 취재진에 "북경(베이징) 날씨가 너무 좋지요?"라고 인사한 후 포럼장으로 입장했다.

27일까지 열리는 이번 발전포럼에는 이 회장을 비롯해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 알버트 불라 화이자 CEO, 크리스티아노 아몬 퀄컴 CEO 등 세계적인 기업 고위 인사 100여 명과 중국 중앙부처 지도급 인사, 국유 기업 및 금융기관 책임자, 국내외 저명 학자들이 참석했다.

2000년 창설된 발전포럼은 중국 행정부인 국무원 발전연구센터가 주최하고 중국발전연구기금이 주관하는 대외 경제 교류 플랫폼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오프라인 모임이 중단됐으나 3년 만에 재개됐다.

이 회장은 CDF에 참석한 주요 기업 경영진들과 만나 글로벌 경영 현안 및 미래 트렌드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CDF 참석에 앞서 회장은 최주선 삼성디스플레이 사장, 장덕현 삼성전기 사장, 양걸 삼성전자 중국전략협력실장(사장)과 함께 천민얼 서기 등 톈진시 정부 인사들을 만나 삼성의 현지 사업 방향을 설명하고 향후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플레이브가 방송 못 나온다고?"…때아닌 버추얼 아이돌 논란, 왜? [이슈크래커]
  • '김새론 사망'에 악플러들 비판…"악플 문제, 제도장치 마련해야"[이슈크래커]
  • 금 뜨자 주목받는 은…"아직 저렴한 가격"
  • 단독 ‘백약이 무효’ 작년 상반기 보험사기액 6028억…올해 최대치 경신 전망
  • 상승 재료 소진한 비트코인…9만6000달러 선에서 횡보 [Bit코인]
  • [날씨] 다시 찾아온 '추위'…아침 최저 -8도
  • 트럼프 “러·우 둘다 싸움 멈추길 원해…푸틴과 매우 곧 만날 것”
  • 월세 내기 빠듯한 청년들 위한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제도, 신청 자격은? [경제한줌]
  • 오늘의 상승종목

  • 02.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945,000
    • -1.13%
    • 이더리움
    • 4,089,000
    • +0.57%
    • 비트코인 캐시
    • 494,800
    • -1.24%
    • 리플
    • 4,034
    • -2.65%
    • 솔라나
    • 278,000
    • -4.34%
    • 에이다
    • 1,195
    • +2.22%
    • 이오스
    • 957
    • -0.62%
    • 트론
    • 371
    • +3.34%
    • 스텔라루멘
    • 512
    • -1.35%
    • 비트코인에스브이
    • 60,300
    • +0.33%
    • 체인링크
    • 28,820
    • +0.98%
    • 샌드박스
    • 597
    • -0.3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