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정부 보조금 받은 외국 기업 규제”…인텔·지멘스 등 반발

입력 2023-03-29 16:1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다국적 기업 21곳, EU 집행위에 서한
“새 규제안, 인수나 공개입찰 방해할 수 있어”
EU, 특정 거래 신고 의무화하는 FSR 발효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 본부 앞에 지난해 9월 28일 EU 깃발이 휘날리고 있다. 브뤼셀/로이터연합뉴스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 본부 앞에 지난해 9월 28일 EU 깃발이 휘날리고 있다. 브뤼셀/로이터연합뉴스
역외에서 정부 보조금을 받은 외국 기업들의 사업을 규제하기로 한 유럽연합(EU)에 인텔 등 주요 기업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2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인텔과 레이시언, 아스트라제네카, 지멘스 등 21개 다국적 기업은 EU 집행위원회에 새 규제에 반발하는 내용의 서한을 전달했다.

이들은 “EU의 새로운 해외 보조금 규제는 인수ㆍ합병(M&A)과 공개입찰을 방해할 수 있다”며 “거래와 입찰이 중단되거나 경쟁 입찰 수가 많이 감소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규제 시행은 매우 복잡한 행정적 시련을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앞서 EU는 해외에서 정부 보조금을 받은 외국 기업이 EU 내에서 사업을 할 때 불이익을 주는 새로운 규제안인 ‘역외 보조금 규정(FSR)’을 발표했다.

FSR에 따르면 5000만 유로(약 705억 원) 이상의 보조금을 역외에서 받은 기업이 매출 5억 유로 이상의 EU 기업을 인수할 때 집행위에 신고해야 한다. 보조금 수령액이 400만 유로를 넘는 기업은 2억5000만 유로 이상의 공공입찰에 참여할 시 마찬가지로 신고해야 한다.

이를 어길 시 기업은 특정 인수 거래나 대규모 공공 계약 체결 시 벌금을 물어야 하며 최악의 경우 거래가 금지될 수도 있다. 제재를 피하기 위해선 과거 역외 정부와의 금융거래 정보를 EU 측에 제시해야 한다.

규제안은 이미 1월 발효했으며, 집행위는 피드백을 수렴한 후 10월부터 신고를 의무화한다는 방침이다.

WSJ는 “해외 보조금 규제는 경제적 이익을 보호하려는 EU의 광범위한 노력의 일부”라며 “전문가들은 FSR가 요구하는 정보에 계약 내용과 공과금부터 심지어 직원들에게 지급되는 사회보장 혜택까지 포함될 수 있다고 말한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尹 탄핵사건, 4일 오전 11시 생중계 선고…역대 최장 심리 기록
  • 장제원 전 의원 사망…강동구 오피스텔서 발견
  • ‘14명 아빠’ 일론 머스크, 또 한국 때린 이유 [해시태그]
  • "벚꽃 축제 가볼까 했더니"…여의도 벚꽃길, 무사히 걸을 수 있나요? [이슈크래커]
  • 김수현, 카톡 공개에 되레 역풍?…'김수현 방지법' 청원도 등장
  • [트럼프 상호관세 D-1] ‘기울어진 운동장’ 안 통했다…韓 IT업계 촉각
  • "신혼부부의 희망?"…'미리내집'을 아시나요 [왁자집껄]
  • "지브리 풍 이렇게 인기인데"…웹3, 애니메이션으로 돌파구 찾을까 [블록렌즈]
  • 오늘의 상승종목

  • 04.0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6,649,000
    • +3.35%
    • 이더리움
    • 2,844,000
    • +4.91%
    • 비트코인 캐시
    • 460,500
    • +2.06%
    • 리플
    • 3,184
    • +2.51%
    • 솔라나
    • 187,900
    • +0.8%
    • 에이다
    • 1,012
    • +3.9%
    • 이오스
    • 1,017
    • +10.91%
    • 트론
    • 352
    • -1.4%
    • 스텔라루멘
    • 407
    • +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7,700
    • +1.66%
    • 체인링크
    • 21,030
    • +4.47%
    • 샌드박스
    • 411
    • +1.9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