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들이 비자발적으로 회사를 떠나는 방식은 주로‘권고사직’을 통해 이뤄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취업ㆍ인사포털 인크루트가 시장조사 전문기업 트렌드모니터와 함께 최근 2년 이내 비자발적 해직을 경험한 353명을 대상으로‘직장인 비자발적 퇴사형태’ 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권고사직’을 통해 회사를 그만두는 비율이 34.8%로 제일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권고사직’은 회사가 사직하는 것이 어떠냐고 권유해 퇴사하게 하는 것으로 비자발적이긴 하지만 결론적으로는 스스로 퇴사를 하게 되는 형태다.
일방적으로 퇴사를 명하는‘(정리)해고’도 32.9%로 권고사직에 이어 높은 비율을 보였다.
10.8%는‘명예퇴직’으로 회사를 그만둔 것으로 나타났다. 명예퇴직은 정년 이전에 잔여기간에 해당하는 보상금을 주고 퇴직하게 하는 형태를 말한다. 권고사직과 넓은 의미로는 유사하지만 보통 퇴직 잔여기간에 해당되는 수당을 지급하고 공개적이고 대규모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한직 또는 지방으로 인사통보를 해 자발적으로 퇴사하게 한다’는 응답도 9.1% 가량 나왔다.
전체적으로는 권고사직이 정리해고보다 높은 비율로 나타났지만, 성별ㆍ연령별ㆍ고용형태별로 나눠보면, 여성, 저연령, 비정규직에서 권고사직보다 정리해고로 그만두는 비율이 높았다.
권고사직이 정리해고보다는 근로자 입장을 좀 더 배려하는 제도라고 본다면 여성, 저연령, 비정규직은 회사를 그만둘 때도 남성, 고연령, 정규직에 비해 상대적 약자일 수 밖에 없다는 뜻이 된다.
한편, 이들은 그만두라는 메시지를 ‘CEO를 비롯한 임원’이나 ‘직속상관’에게, 주로‘구두로 전달’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만두라는 메시지를 누구로부터 전달받았는지’ 물은 결과, 33.7%가 ‘CEO를 비롯한 임원에게’ 받은 것으로 나타난 것. ‘직속상관’에게 받았다는 응답도 32.6%로 비슷한 비율을 보였다. ‘인사담당자에게’ 받은 경우는 14.7%, ‘타 부서의 제3자에게’란 응답이 9.6%, ‘부서 내 다른 사람에게’ 받았다는 응답이 9.3%로 각각 집계됐다.
메시지 전달방식은 ‘(면전에서) 구두로’ 전달받았다는 응답이 82.7%로 가장 많았다. ‘전화상으로’ 받았다는 응답은 7.6%, 이메일로 받았다는 응답은 4.2% 가량 나왔다. 1.7%는 ‘문자메시지’로 그만두라는 통보를 받은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역시 여성이나 저연령층, 비정규직에서 구두가 아닌 다른 간접적인 방식으로 통보를 받는 경우가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