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 자녀 2명을 둔 40대 주부 A씨는 수년째 구독하던 우유 배달을 최근 끊고 필요할 때 마다 쿠팡에서 주문해 먹기로 했다. 비용 부담이 만만치 않아서다. 채소값 등 식자재 비용이 크게 인상된 데 다 우윳값과 과자값 부담도 늘어난 데다 학원비도 만만치 않다. 현재 영어학원과 수학학원, 마술학원, 태권도학원 등을 보내는 그는 지난달부터 학원당 수강료만 각각 3~5만 원씩 올랐다. A씨는 “예체능을 줄이고, 영어와 수학 학원만 보내야할까 고민”이라고 푸념했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23/04/20230424144253_1876950_993_389.jpg)
최근 유아·아동 관련 물가가 줄줄이 오르면서 서민층의 경제적 부담이 커지고 있다.
24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4.7% 올랐다.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에 수요가 쏠리며 음식과 숙박 관련 물가가 7.5%가 올랐고, 의류 및 신발 지수도 1년 전보다 6.0% 뛰었다. 의류가 6.1% 상승했고, 신발 물가는 4.8% 올랐다.
관련 뉴스
특히 아동 관련 물가 오름세가 가파르다. 올해 1분기 아동복·유아복 물가지수는 109.97로 지난해 같은 분기에 비해 무려 9.6% 치솟았다. 남성의류(3.6%)와 여자의류(5.4%), 캐주얼의류(6.9%)보다 상승세가 크다. 신발 카테고리에서는 아동화의 물가지수 상승률은 6.3%로 구두(2.6%)와 운동화(5.4%)를 압도한다.
학원비도 부담이다. 가정학습지 물가지수는 6.3% 올랐고, 미술학원비도 5.7% 뛰었다. 음악학원비는 3.6% 상승했다. 학원에 비해 가격대가 저렴한 방과후수업비도 부담이 늘었다. 학교보충교육비 지수는 무려 10.7%로 두 자릿수로 뛰었다. 교재비 부담도 만만치 않다. 유아용학습교재 물가 지수는 올해 1분기 7.5% 올랐다. 초등학교학습서(2.8%)와 고등학교학습서(6.7%)보다 상승 폭이 크다.
먹거리 부담도 늘었다. 아이들이 즐겨 먹는 우유 물가지수는 올해 1분기 116.28로 전년 동기에 비해 무려 8.9% 급등했고, 치즈는 32.8%로 가파르게 올랐다. 발효유 물가지수도 13.5% 올랐다. 과자, 빙과류 및 당류 지수는 115.74로 1년 전보다 11.2% 올랐다. 연초 매일유업과 남양유업, 빙그레, 동서, 푸르밀 등이 우유와 발효유, 아이스크림 등 유제품 가격을 올린 영향이 컸다.
다른 육아용품 물가도 줄줄이 오르고 있다. 맞벌이 부부들이 많이 이용하는 가사도우미 물가는 올해 1분기 6.8% 올랐고, 산후 조리원이용료 물가지수도 5.9% 솟구쳤다. 유모차는 9.6% 뛰었고, 기저귀 물가는 8.9% 올랐다. 이외에도 PC방 이용료는 4.4%, 놀이시설 이용료 물가지수는 8.8% 상승했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아동 시장 관련이 고급화되면서 최근 양육비 부담이 높아졌다”면서 “아동 관련 물가의 가파른 상승세는 자녀 출산율을 저해할 수 있는만큼 물가 당국에서도 관심을 갖고 지켜봐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