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은행들의 외환건전성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2월 말 기준 국내 18개 은행의 3개월 외화유동성비율은 106%로 지난해 말 대비 7.1%p 상승했다. 이는 지난해 9월 리먼브러더스 파산사태 이전 수준을 회복된 것이다.
잔존만기 3개월 이내 외화자산을 3개월 이내 외화부채로 나눈 3개월 외화유동성비율은 2007년 말 102.7%에서 작년 말 98.9% 수준까지 떨어지면서 외화유동성 우려가 확산된 바 있다.
또 자산-부채의 만기불일치 비율을 나타내는 국내 은행의 7일 및 1개월 갭비율도 2월 말 현재 각각 2.0%, 2.5%로 금감원의 지도비율을 상회하고 있다.
1개월 갭비율은 잔존만기 1개월 이내 외화자산에서 1개월 이내 외화부채를 뺀 수치를 외화총자산으로 나눈 것으로 개별 은행들은 -10% 이상을 유지해야 한다.
7일 갭비율은 잔존만기 7일 이내 외화자산에서 7일 이내 외화부채를 뺀 수치를 외화총자산으로 나눈 것으로, 금감원은 0% 이상을 유지하도록 지도하고 있다.
이에 대해 금감원은 "정부의 선제적인 외화유동성 공급과 대규모 무역흑자 등으로 인해 국내은행의 외화 유동성 상황에 대한 외국인투자자의 우려가 완화됐다"면서 "더불어 동유럽 위기 가능성 등 국제금융시장 불안에도 불구하고 기간물 차환율이 오히려 상승하는 등 외화차입여건이 개선됐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