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SW분리발주 활성화 대책 추진

입력 2009-05-26 11:5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정보화사업의 70%까지 확대

정부가 지난 3월 시행된 소프트웨어(SW) 분리발주 제도의 정착을 위해 지원책을 내놓았다.

지식경제부와 행정안전부는 국내 SW 산업을 육성하고 공공기관에 우수 SW가 납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공공부문 SW분리발주 활성화 대책'을 마련, 이달부터 시행하고 있다고 26일 밝혔다.

분리발주는 소프트웨어 업계를 육성하기 위해 공공기관이 10억 원 이상의 정보화 사업에서 소프트웨어 부문이 5000만 원 이상일 경우 분리발주하도록 한 제도다.

정부는 이번 대책을 통해 정보화 사업에서 현행 21%인 분리발주 적용률을 오는 2012년까지 70%까지 높이고, 해당 SW품목도 50종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우선 지방자치단체가 분리발주를 준수하도록 하기 위해 지방계약법 시행규칙을 개정해 내년부터 분리발주를 의무화하기로 했다. 또 분리발주를 적극 추진하는 공공기관에는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아울러 공공기관(발주기관)에서 발주 제안요청서 작성 시 분리발주 대상 SW에 대한 기능과 규격을 구체적으로 명시해 책임한계를 명확히 하고, 'SW대가기준 해설서'를 통해 시스템 통합·연계비용을 예산에 책정하도록 유도해 시스템 통합에 따른 분쟁소지를 최소화키로 했다.

또 우수 SW 도입을 위해 기술평가 비중을 현행 80%에서 90%로 높이도록 하는 한편 SW분리발주 제안요청서를 20쪽 이내로 축소하고, SW업체의 제안서도 축소하기로 했다.

분리발주에 대한 인식을 높이도록 공무원과 SW업체 관계자 등 2800여 명을 대상으로 분리발주 교육을 실시하기로 했고, 분리발주 적용 여부를 상시적으로 모니터링해 각 기관의 분리발주 실적을 정부의 기관 평가에 반영하기로 했다.

지경부 관계자는 "그동안 SW분리발주 추진으로 중소 SW기업의 매출액이 연간 27% 증가, 납품단가도 25% 상승하는 등 SW분리발주 성과가 가시화되고 있다"며 "SW분리발주 활성화 대책이 본격 추진되면 국내 중소 SW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통해 중소기업의 수익창출과 수출확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2기 무역전쟁 시작됐다...“삼성 등 압박·미국도 다친다”
  • "이 감성 못 잃어"…젠지 선택받은 브랜드들의 정체 [솔드아웃]
  • '나솔사계' 미스터 박, 환승이별 의혹 부인…"여자친구 잘못 없어, 나만 조롱해"
  • 카나나 공개 앞둔 카카오, AI 늦깎이 꼬리표 뗄까
  • 트럼프 열기 식어…1월 국내 가상자산 거래대금 30%↓
  • 단독 이커머스 1위 쿠팡, 연 1조 ‘테이블오더’ 시장 출사표
  • SK하이닉스 시총 16조 증발…딥시크 충격 언제까지
  • 커지는 딥시크發 ‘엔비디아’ 회의론…韓 AI 팹리스에도 기회 열리나
  • 오늘의 상승종목

  • 01.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5,163,000
    • -1.48%
    • 이더리움
    • 4,781,000
    • -4.72%
    • 비트코인 캐시
    • 608,500
    • -5.73%
    • 리플
    • 4,298
    • -6.38%
    • 솔라나
    • 328,700
    • -5.71%
    • 에이다
    • 1,320
    • -7.69%
    • 이오스
    • 1,070
    • -13.08%
    • 트론
    • 370
    • -5.13%
    • 스텔라루멘
    • 583
    • -6.57%
    • 비트코인에스브이
    • 69,400
    • -6.72%
    • 체인링크
    • 33,880
    • -9.89%
    • 샌드박스
    • 700
    • -11.2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