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가 공공기관에도 자본시장 세계화 추세와 신뢰도를 제고하기 위해 공공기관에도 국제적으로 통일된 회계기준인 국제회계기준(IRFS)을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9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정부는 자본시장 세계화에 맞춰 2011년부터 상장 민간기업에 전면 적용되는 국제회계기준을 공공기관에도 도입하기 위해 각계의 의견을 수렴중이다.
정부는 이 기준을 2011년부터는 모든 상장기업에 적용하기로 했다. 공공기관은 비영리 활동 등의 특수성 때문에 적용 대상에서 일단 배제해 왔다.
그러나 정부는 우리나라의 규모나 국가경제 비중, 해외사업 수행과 해외자금 조달 추세 등을 고려할 때 공공기관에도 국제회계기준 도입 적용을 검토하고 있다.
만일 이 기준이 도입될 경우 연결재무제표 적용으로 공공기관이 투자한 자회사의 실적도 함께 공시됨에 따라 공공기관의 경영 성과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돼 공공기관 선진화에도 효율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재정부 국고국 관계자는 "아직 적용 대상기관과 도입시기 등에서는 최종 결정된 게 없다"며 "또한 국제회계기준 도입이 실적이 저조한 자회사의 매각 등 공공기관 구조조정을 위한 것이 아니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