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동작구 숭실대학교에서 열린 2024 대입 정시모집 대비 학생·학부모 대상 대입 설명회를 찾은 학생과 학부모들이 설명을 듣고 있다. (뉴시스)](https://img.etoday.co.kr/pto_db/2024/03/20240319105919_2001118_1200_800.jpg)
올해 대학 입시에 재도전하는 졸업생이라면 학생부교과전형을 노려볼 만하다. 내신성적 위주 정량평가가 중심이기 때문에 부담이 크지 않기 때문이다. 입시전문기관 진학사의 도움을 받아 서울 소재 14개 대학을 중심으로 교과 전형 지원시 졸업생이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정리했다.
가장 먼저 ‘지원 자격’을 살펴봐야 한다. 간혹 고3 학생만 지원할 수 있거나 재수생까지만 지원 가능한 대학도 있기 때문이다.
건국대·동국대·숙명여대는 졸업 연도와 관계없이 교과 전형에 지원할 수 있다. 반면, 경희대·고려대·서강대·성균관대·연세대는 졸업예정자, 즉 고3 학생으로만 지원 자격을 제한한다. 서울시립대·이화여대·중앙대·한국외대·한양대는 재수생까지 지원 가능하다. 홍익대는 삼수생까지 가능해 14개 대학 중 지원 대상이 가장 넓다.
졸업생이 지원할 수 있는 대학인 △서울시립대 △숙명여대 △중앙대 △한국외대 △한양대 △홍익대 등 6개 대학은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한다. 그중 올해 수능최저학력기준 적용 방법에 변화를 준 대학이 있어 이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관련 뉴스
가장 변화가 큰 곳은 한양대다. 그간 모든 수시 전형에서 수능을 반영하지 않았지만 올해는 교과전형을 비롯한 일부 전형에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한다. 교과 전형 수능최저기준은 ‘국·수·영·탐(1) 중 3개 등급합 7 이내’다. 수능최저학력기준이 신설된 데다 교과 정성평가를 10% 반영해 기존과는 다른 입시 결과를 보일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둬야 한다.
수능 선택과목 제한을 폐지한 대학도 많다. 숙명여대·중앙대·한국외대는 자연 계열 지원시 수학 또는 탐구 영역 선택과목 제한을 모두 없애면서 과목과 상관없이 지원할 수 있게 했다.
학생부 반영의 경우 이화여대·한양대·홍익대는 졸업예정자(고3), 졸업자 모두 3학년 1학기까지만 반영한다. 하지만 그 외 대학은 졸업생의 경우 3학년 2학기까지 반영한다. 재수생이라면 지난 수시 때와 내신 산출 점수가 달라질 수 있음을 유의하고 유불리에 맞게 지원 전략을 세워야 한다.
![(자료 제공 = 진학사)](https://img.etoday.co.kr/pto_db/2024/04/20240412111336_2011742_773_402.png)
주요 대학의 학생부교과전형은 지역균형전형으로, 학교장 추천이 필요하다는 점도 졸업생에게 부담일 수도 있다. 올해는 이화여대가 추천 가능 인원을 늘리면서 졸업생의 지원 장벽을 낮췄다. 이화여대는 그동안 고교 3학년 재적 여학생 수 5%(최대 10명)까지 추천할 수 있도록 했으나, 2025학년도에는 20명으로 추천 가능 인원을 크게 확대했다.
우연철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장은 “수시에 재도전하는 졸업생의 경우 교과전형 지원 자격 및 전형 방법이 재학생이었을 때와 다른 경우가 많아 주의가 필요하다”며 “3학년 2학기까지 반영한 성적, 수능 최저학력기준 충족 가능성 등 본인의 작년 대비 경쟁력을 판단해 대학별 유불리를 따져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