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보] 뉴욕증시, 위축된 금리 인하 전망에 혼조…나스닥 0.10%↓

입력 2024-05-08 07:1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카시카리 연은 총재 “금리 인상 배제 안해”
모건스탠리, 인하 시작 시점 7→9월 연기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5일 트레이더가 주가를 살피고 있다. 뉴욕(미국)/AFP연합뉴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5일 트레이더가 주가를 살피고 있다. 뉴욕(미국)/AFP연합뉴스

뉴욕증시는 7일(현지시간) 금리 인하 기대가 위축되며 혼조로 종료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1.99포인트(0.08%) 오른 3만8884.26에 마무리했다. S&P500지수는 6.96포인트(0.13%) 상승한 5187.70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16.69포인트(0.10%) 떨어진 1만6332.56에 마감했다.

다우지수는 작년 12월 이후 가장 긴 5거래일 연속 상승 흐름을 나타냈다. S&P는 4거래일째 올랐다. 나스닥은 4거래일 만에 하락했지만 그 폭은 크지 않았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지속되고 있다. 여기에 탄탄한 실적에 대한 확인과 전망이 더해지며 5월 증시는 4월의 부진을 털고 반등을 모색하고 있다는 진단이다.

장중에는 ‘매파’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가 밀컨 컨퍼런스에서 금리 인상에 대한 질문에 “배제할 수 없다”고 답하면서 금리 인하 기대는 다소 밀렸다.

모건스탠리는 이날 인플레이션의 더딘 진행을 이유로 연준의 첫 금리 인하 시점을 7월에서 9월로 연기했다.

시장조사업체 LSEG에 따르면 트레이더들은 연말까지 연준이 정책금리를 46bp(bp=0.01%포인트) 인하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첫 금리 인하 시기는 9월 또는 12월로 꼽혔다.

증시는 다음주 주요 수치가 나올 때까지 움직임이 제한적일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나티시스투자매니저솔루션의 가렛 멜슨 포트폴리오 전략가는 “다음주 생산자물가지수(PPI), 소비자물가지수(CPI) 등 ‘큰 수치’들이 나오기 전까지 증시는 보합세를 띨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미디어·콘텐츠 업체인 디즈니는 주가가 9.5% 급락, 2022년 12월 이후 17개월 만의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다. 이날 공개한 올해 1~3월 순이익이 시장 전망을 웃돌았지만 매출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2분기에는 스트리밍 서비스도 부진할 것으로 예상된 데 따른 것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플레이브가 방송 못 나온다고?"…때아닌 버추얼 아이돌 논란, 왜? [이슈크래커]
  • '김새론 사망'에 악플러들 비판…"악플 문제, 제도장치 마련해야"[이슈크래커]
  • 금 뜨자 주목받는 은…"아직 저렴한 가격"
  • 단독 ‘백약이 무효’ 작년 상반기 보험사기액 6028억…올해 최대치 경신 전망
  • 상승 재료 소진한 비트코인…9만6000달러 선에서 횡보 [Bit코인]
  • [날씨] 다시 찾아온 '추위'…아침 최저 -8도
  • 트럼프 “러·우 둘다 싸움 멈추길 원해…푸틴과 매우 곧 만날 것”
  • 월세 내기 빠듯한 청년들 위한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제도, 신청 자격은? [경제한줌]
  • 오늘의 상승종목

  • 02.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625,000
    • -0.38%
    • 이더리움
    • 4,228,000
    • +4.24%
    • 비트코인 캐시
    • 505,000
    • +1.36%
    • 리플
    • 4,082
    • -0.73%
    • 솔라나
    • 280,600
    • -2.6%
    • 에이다
    • 1,240
    • +7.08%
    • 이오스
    • 980
    • +2.73%
    • 트론
    • 370
    • +1.93%
    • 스텔라루멘
    • 522
    • +0.97%
    • 비트코인에스브이
    • 60,700
    • +2.02%
    • 체인링크
    • 29,580
    • +3.97%
    • 샌드박스
    • 619
    • +4.5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