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개 식용 종식에 따라 사육 농가의 전업을 지원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개의 식용 목적의 사육·도살 및 유통 등 종식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영업 신고를 마친 개사육농가의 전업 의향을 조사하고 해결책 제공을 위한 컨설팅을 지원한다고 3일 밝혔다. 지금까지 조사된 개 사육 농가는 모두 1507곳이다.
개식용종식법에 따라 2027년 2월 이후 식용 목적의 개 사육과 도살, 유통, 판매 등이 금지되면서 개 사육농가는 전·폐업을 해야 하는 상황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농가가 고령인 데다 타 축종이나 타 분야 경험이 부족한 실정이다. 전체 사육 농가 중 53.6%는 농장주 나이가 65세 이상이다.
이에 농식품부는 농촌진흥청, 농협, 지방자치단체 전문가 300여 명으로 구성된 현장 컨설팅지원단을 통해 농가의 재무 상태, 사육 관리 능력 등을 진단하고 분야별 기술교육, 위험관리 등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한다.
관련 뉴스
박정훈 농식품부 동물복지환경정책관은 "이달 말까지 농가를 대상으로 수요 조사를 한 뒤 지역별 컨설팅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이번 컨설팅이 전업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농가들은 충분히 숙고한 후 축종 및 업종을 선택해 수요조사에 임해달라"고 당부했다.
개식용종식법에 따라 영업 신고를 마친 개 사육농장 등 개 식용 업계 종사자는 오는 8월 5일까지 시·군·구에 전업·폐업 이행계획서를 제출해야 한다.
농식품부는 이행계획서 작성과 접수 과정의 주요 내용을 알려주는 설명회를 오는 4일부터 5개 권역에서 순차적으로 열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