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소비 증가율 1.8→1.4% 하향 조정…“자영업자 업황 부진, 회복 속도 제약”
한국은행은 앞으로 민간소비 회복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은행)](https://img.etoday.co.kr/pto_db/2024/08/20240822165617_2067451_1135_562.jpg)
한은은 23일 ‘최근 민간소비 흐름 평가’ 분석을 통해 “하반기 이후 민간소비는 기업실적 개선에 힘입은 명목임금 상승률 확대, 디스인플레이션 진전 등으로 가계의 실질구매력이 개선되어 점차 회복 속도가 빨라질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이 분석은 전날 한은이 발표한 ‘8월 경제전망’에 반영된 내용이다. 한은은 수정경제전망을 통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4%로 전망한다고 발표했다. 5월에 예상했던 2.5%에서 0.1%포인트(p) 내린 것이다. 민간소비 증가율은 당초 1.8%보다 0.4%p 낮은 1.4%로 하향 조정했다.
한은은 명목임금 상승률 확대와 디스인플레이션 진전에 대해 “명목임금 상승률은 올해 1분기(1.3%) 크게 낮아졌다가 4~5월(3.8%)에 높아지면서 회복되는 모습”이라며 “앞으로는 정액급여 상승률이 장기평균 수준(3.5%)의 오름세를 이어가고 기업실적 개선 영향으로 특별급여도 회복되면서 명목임금 개선세가 확대될 것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이어 “물가상승률이 완만하게 둔화됨에 따라 1인당 실질임금(1인당 명목임금/소비자물가 증가율)은 2분기 이후 플러스로 돌아설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관련 뉴스
또한 한은은 IT기기 등 내구재 교체시기가 점진적으로 도래하는 점도 내구재 소비 부진을 완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은은 “팬데믹 이후 빠르게 회복된 국외소비(해외여행)도 예년의 추이 등을 감안할 때 추가적인 확대 여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부연했다.
다만, 인구구조적 요인과 자영업자 업황 부진은 소비 회복의 제약 요인으로 짚었다. 한은은 “고령화·저출산 등 인구구조적 요인, 자영업자 업황 부진은 소비 회복 속도를 다소 늦추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