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금값] 미국 대선 결과 불확실성에 연일 사상 최고치

입력 2024-10-23 07:3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중동, 러ㆍ우 전쟁으로 인한 지정학적 불안
전 세계 중앙은행 완화 기조 등도 상승 요인

▲이스라엘과 헤즈볼라 간 전면전 가능성과 미국의 기준 금리 인하에 힘입어 금값이 23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현물 금은 이날 장 초반 온스당 2630.93달러(약 351만5000원)를 기록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올해 금값 상승률은 27%로 2010년 이후 최고치다. 이날 서울 종로구 한국금거래소에서 직원이 금을 정리하고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이스라엘과 헤즈볼라 간 전면전 가능성과 미국의 기준 금리 인하에 힘입어 금값이 23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현물 금은 이날 장 초반 온스당 2630.93달러(약 351만5000원)를 기록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올해 금값 상승률은 27%로 2010년 이후 최고치다. 이날 서울 종로구 한국금거래소에서 직원이 금을 정리하고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국제 금값이 22일(현지시간) 미국 대통령 선거 불확실성 등으로 연일 최고치를 갈아치우고 있다.

이날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12월 인도분 금 선물 가격은 전일 대비 20.90달러(0.76%) 오른 온스당 2759.80달러에 마감했다. 15일부터 6거래일 연속으로 오르막길을 걷고 있다.

올해 들어서는 32% 이상 상승했다.

내달 5일 미국 대통령 선거가 보름도 남지 않은 가운데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초박빙의 승부를 펼치고 있다. 또 중동과 러시아-우크라이나에서의 전쟁 등으로 지정학적 긴장도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불확실성은 대표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투자 선호도를 높인다.

또한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 중앙은행들이 통화정책을 완화적인 방향으로 운영하는 것도 금값 랠리의 주요 동인으로 꼽힌다. 금리가 내리면 이자 수익도 배당금도 지급하지 않는 금 보유 매력이 커진다.

귀금속 중개서비스업체 재너 메탈스 부사장 겸 수석 전략가 피터 그랜트는 “해리스와 트럼프가 여전히 접전 양상을 보임에 따라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관심이 높다”면서 "중동에서 상황이 더 뜨거워진다면 온스당 3000달러도 가능하겠지만, 1분기가 더 가능한 시나리오라고 본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尹 탄핵사건, 4일 오전 11시 생중계 선고…역대 최장 심리 기록
  • 장제원 전 의원 사망…강동구 오피스텔서 발견
  • ‘14명 아빠’ 일론 머스크, 또 한국 때린 이유 [해시태그]
  • "벚꽃 축제 가볼까 했더니"…여의도 벚꽃길, 무사히 걸을 수 있나요? [이슈크래커]
  • 김수현, 카톡 공개에 되레 역풍?…'김수현 방지법' 청원도 등장
  • [트럼프 상호관세 D-1] ‘기울어진 운동장’ 안 통했다…韓 IT업계 촉각
  • "신혼부부의 희망?"…'미리내집'을 아시나요 [왁자집껄]
  • "지브리 풍 이렇게 인기인데"…웹3, 애니메이션으로 돌파구 찾을까 [블록렌즈]
  • 오늘의 상승종목

  • 04.0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6,749,000
    • +3.24%
    • 이더리움
    • 2,848,000
    • +4.78%
    • 비트코인 캐시
    • 461,200
    • +2.26%
    • 리플
    • 3,193
    • +2.6%
    • 솔라나
    • 188,400
    • +0.48%
    • 에이다
    • 1,016
    • +3.57%
    • 이오스
    • 1,031
    • +11.82%
    • 트론
    • 352
    • -1.4%
    • 스텔라루멘
    • 407
    • +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8,200
    • +2.53%
    • 체인링크
    • 21,140
    • +4.76%
    • 샌드박스
    • 413
    • +1.9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