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 보폭 넓히는 BYD…고속 충전 모노레일 '스카이셔틀'로 친환경 선도

입력 2024-11-25 00: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충칭 내 15대 스카이셔틀 보유
100% 자율주행·최고속도 80㎞
15개 역으로 전체 노선 15.4㎞

▲중국 충칭 내 스카이셔틀 모습. (자료제공=BYD)
▲중국 충칭 내 스카이셔틀 모습. (자료제공=BYD)

비야디(BYD)에서 자체 연구개발을 진행한 고속 충전 모노레일 ‘스카이셔틀(SkyShuttle)’은
직원들뿐만 아니라 시민들의 편의를 높이고 있습니다.

21일(현지시간) 중국 충칭 내 스카이셔틀 관제센터에서 만난 BYD 관계자는 “2020년 9월부터 충칭에서 스카이셔틀 운영을 시작해 현재 총 15대의 BYD 스카이셔틀이 전체 노선 길이 15.4㎞의 15개 역을 달리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BYD는 자동차 사업뿐만 아니라 고속충전 모노레일 시스템을 선보이며 친환경적인 대중교통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BYD는 도시 교통 혼잡 문제와 대기 환경 개선을 위해 5년 동안 중용량 스트래들 형식의 모노레일 시스템 ‘스카이레일(SkyRail)’을, 7년간 저용량 고무 타이어 트램·기차 시스템인 ‘스카이셔틀’을 개발해왔다.

특히 이 같은 고속충전 모노레일 시스템은 BYD의 배터리를 활용한 높은 수준의 안전성, 합리적인 건설비용, 짧은 건설 기간 등의 장점을 지녔다. BYD 관계자는 “스카이레일과 스카이셔틀은 전철 대비 건설 및 유지비 측면에서 경제성이 뛰어나고, 전력 공급이 불안정하거나 이물질로 인한 운영 지장 등을 피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안정적이다”고 말했다.

▲중국 충칭 내 스카이셔틀 관제센터. (자료제공=BYD)
▲중국 충칭 내 스카이셔틀 관제센터. (자료제공=BYD)

이날 충칭 내 리우지아주이역에서 만난 ‘스카이셔틀’은 2량으로 편성된 소규모의 ‘경전철’ 같은 모습이었다. 스카이셔틀을 타고 약 6개 정거장을 달려보니 뻥 뚫린 유리로 주변 환경을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승차감이 돋보였다. 스카이셔틀 내에는 BYD 직원뿐만 아니라 시민들이 계속해 탑승하면서 일반적인 대중교통 수단으로 자리 잡은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1개의 노선으로 구성된 충칭 내 스카이셔틀은 최고속도 80㎞로 총 15개 역을 오간다. 평일(월요일~목요일) 1만 명, 주말(금요일~일요일)에는 1만2000여 명~1만5000여 명이 이용한다. 출근시간대 출발역에서 종착역까지 소요시간은 약 30분가량이다. 평균 운행횟수는 주중 267회, 주말 303회차로 배차 간격은 2분 30초다.

이용요금은 2위안~4위안(한화 약 300~700원)이다. 배터리를 1번 충전할 시 약 200㎞ 주행할 수 있다. 2020년 첫 운행을 시작한 후 현재까지 배터리를 교체한 적은 없다. 현재 스카이셔틀은 BYD 본사 및 공장이 있는 선전, 충칭, 창사, 시안 등에서 운행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尹 탄핵사건, 4일 오전 11시 생중계 선고…역대 최장 심리 기록
  • 장제원 전 의원 사망…강동구 오피스텔서 발견
  • ‘14명 아빠’ 일론 머스크, 또 한국 때린 이유 [해시태그]
  • "벚꽃 축제 가볼까 했더니"…여의도 벚꽃길, 무사히 걸을 수 있나요? [이슈크래커]
  • 김수현, 카톡 공개에 되레 역풍?…'김수현 방지법' 청원도 등장
  • [트럼프 상호관세 D-1] ‘기울어진 운동장’ 안 통했다…韓 IT업계 촉각
  • "신혼부부의 희망?"…'미리내집'을 아시나요 [왁자집껄]
  • "지브리 풍 이렇게 인기인데"…웹3, 애니메이션으로 돌파구 찾을까 [블록렌즈]
  • 오늘의 상승종목

  • 04.0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6,795,000
    • +3.35%
    • 이더리움
    • 2,846,000
    • +5.1%
    • 비트코인 캐시
    • 461,200
    • +2.69%
    • 리플
    • 3,191
    • +2.8%
    • 솔라나
    • 187,900
    • +0.7%
    • 에이다
    • 1,012
    • +3.69%
    • 이오스
    • 1,018
    • +11.01%
    • 트론
    • 351
    • -1.68%
    • 스텔라루멘
    • 406
    • +3.57%
    • 비트코인에스브이
    • 47,900
    • +2.13%
    • 체인링크
    • 21,090
    • +5.13%
    • 샌드박스
    • 412
    • +2.2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