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원장은 이날 여의도 주택건설회관에서 '건설업계 및 부동산시장 전문가 간담회'를 열어 건설‧부동산 업계의 현장 애로와 정부에 대한 건의사항을 청취했다. 간담회는 부동산시장 전문가와 탄핵 정국 진입 이후 건설·부동산시장 상황을 점검‧진단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 원장은 "그동안 정부는 국민 주거안정 등을 위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보증 35조 원 공급, 지방 미분양주택 CR리츠 도입 등을 통해 부동산 개발 산업에 대한 유동성 지원을 다각적으로 확대했다"면서 "그러나 건설업 측면에서 공사비가 상승하는 가운데 건설수주 감소로 수익성이 악화하는 등 업황이 부진한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민간 부문에서 금융권이 부동산 PF 공급을 다소 확대하고 있지만, 신디케이트론을 비롯한 PF 신규 취급이 더욱 원활히 이뤄지도록 금융권에서 힘을 모을 필요가 있다"고 요청했다.
건설업계는 간담회에서 △지방 주택수요진작을 위한 대출규제 개선 △지방 부동산 경기 회복을 위한 세제 완화 정책 △금융상품 확대 편성 및 신속공급을 통한 유동성 지원확대 △정부의 PF 제도개선 시행시기의 합리적 조정 △부동산 PF 불공정 관행 개선 후속 조치 조속 마련 △상호금융권 충당금 규제 강화 일정 연기를 건의했다.
관련 뉴스
주제 발표를 맡은 이혁준 나이스신용평가 본부장은 "올해 하반기에도 서울과 지방간 부동산시장의 양극화가 진행되고 있다"면서 "지방 미분양 심화 등은 경제시스템 전체 측면에서위험‧불안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내년에는 서울과 지방의 양극화 완화를 위한 지역별 투트랙(two-track) 정책을 올해보다 확대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 본부장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등으로 과거와 같은 초저금리 수준으로 돌아갈 수 없는 경제환경 등을 고려해 부실 PF의 정리 및 재구조화를 좀 더 가속해야 한다"면서 "추가적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라도 금융권이 신속히 부실을 정리해야 할 시점"이라고 분석했다.
은행연합회 등 금융권 참석자들은 은행‧보험 신디케이트론 및 PF 신규취급 등을 통해 건설‧부동산업에 필요한 자금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저축은행 업권의 경우 부실자산 정리를 통해 건전성을 제고하고 부실화 된 사업장이 새로운 매수자를 통해 정상화 될 수 있도록 경·공매 등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이 원장은 "금융자금이 정상 사업장으로 선순환될 수 있도록 부동산 PF 연착륙 대책을 일관되게 추진하겠다"면서 "건설업계가 제시한 의견들은 정부와 협의해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즉시 시행 가능한 과제의 경우 내년도 중점 과제로 반영해 추진해 나가겠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