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北 산림, 9년간 133만ha 증가...산림복구 사업 성과"

입력 2024-12-28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북한 산림녹화 전후 연도 비교 : 2014년 vs 2023년 (KDI)
▲북한 산림녹화 전후 연도 비교 : 2014년 vs 2023년 (KDI)

북한이 2015년부터 진행한 '산림복구 10개년 전투'가 성과를 거두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8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발간한 북한경제리뷰 12월호에 수록된 '위성영상 분석에 기반한 북한 산림복구 9년 차 종합 평가 및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이 산림녹화 프로젝트를 시행하기 전인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9년간 산림이 증가한 면적은 75만4997ha이다. 같은 기간 관목림은 32만1258ha, 초지는 25만3805ha 늘었다. 최근 9년 동안 북한의 산림, 관목림, 초지 증가분은 총 133만60ha다.

북한은 2015년부터 10년간 168만2000㏊의 산림을 새로 조성할 것이라는 계획을 2014년 IUFRO(국제산림기구기관연합)에 보고했다. 산림복구 사업을 시작한 지 9년 만에 목표의 약 80% 정도 수준을 달성한 셈이다. 보고서를 작성한 정성학 한반도안보전략연구원 영상분석센터장은 "2023년 한 해에만 전체 목표의 28.3%인 47만6572㏊의 산림을 조성했다"며 "이 속도라면 목표 연도인 2024년까지 전체 계획량을 달성하기에 무리는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다만 위성 영상 분석 결과, 산림 증가는 평양 등 도심 내륙 평야 지대에 집중됐다. 반면 자강도, 양강도, 함경북도 등 북부 산간 지대에서는 산림 면적이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KDI는 취사, 난방 등 주민 생활에 나무가 땔감으로 주로 이용되는 연료 문제의 근본적 해결이나 개선 없이는 산림복구 성과는 회의적이라고 분석했다. 정 센터장은 "장기적 관점에서 국토녹화 성공 여부가 지속할지 의문"이라며 "주민 통제와 단속에 의한 강압적 산림정책의 성과는 한시적이고 언제든 다시 산림이 황폐해져서 과거로 퇴보할 수 있다는 것이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체 연료 개발 및 보급이 산림녹화와 병행해서 추진돼야 할 선결 과제인 것으로 판단된다"고 부연했다.

이번 보고서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운영하는 테라(TERRA) 및 아쿠아(AQUA) 위성이 촬영한 MODIS(MODerate-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데이터를 활용해 북한 토지이용도를 연도별로 분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삼성전자, 차세대 RGB 마이크로 LED TV 연내 출시한다
  • 취업만 되면 어디든 다니겠다는 취준생들…"원하는 연봉은 3400만 원" [데이터클립]
  • "밴댕이 소갈딱지"…속 좁은 그 생선을 아시나요? [레저로그인]
  • 불확실성 커지는 요즘…금테크로 안전자산 투자해볼까 [경제한줌]
  • “시계 부품회사에서 로봇까지”... 엡손 84년간 ‘성공 신화’ 살펴보니 [르포]
  • 넷플릭스 ‘중증외상센터’는 허구일까? [해시태그]
  • "1년 동안 기다렸는데"…'파피 플레이타임 4', 혹평 쏟아진 '진짜 이유' [이슈크래커]
  • 트럼프, 시진핑과 통화 무산...관세전쟁 장기화 조짐에 ‘트럼플레이션’ 위기감
  • 오늘의 상승종목

  • 02.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2,842,000
    • -1.93%
    • 이더리움
    • 4,345,000
    • -0.11%
    • 비트코인 캐시
    • 522,000
    • -0.19%
    • 리플
    • 3,949
    • -3.92%
    • 솔라나
    • 320,100
    • -2.79%
    • 에이다
    • 1,187
    • +0.34%
    • 이오스
    • 971
    • +2.43%
    • 트론
    • 353
    • +0.86%
    • 스텔라루멘
    • 537
    • -2.36%
    • 비트코인에스브이
    • 64,450
    • -0.23%
    • 체인링크
    • 31,020
    • -4.26%
    • 샌드박스
    • 636
    • -0.3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