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연이은 대권 행보…이번엔 트럼프 2기 ‘관세전쟁’ 대응

입력 2025-02-05 16:2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트럼프 2.0 수출기업 고민 듣는다’ 간담회 좌장
삼성·SK·LG·대한상의·중기중앙회 등 재계 인사 만나
“일선 기업인 의견이 제일 중요…잘 메모해 정책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트럼프 2.0 시대 핵심 수출기업의 고민을 듣는다"란 주제로 열린 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트럼프 2.0 시대 핵심 수출기업의 고민을 듣는다"란 주제로 열린 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재계 관계자들을 만나 도널드 트럼프 2기 정부의 관세 상향 등으로 인한 통상·산업 파급에 대비하기 위한 자리를 마련했다. 반도체 특별법과 관련, 52시간제 예외 문제에 대해 여당과 합의 가능성을 열어두는 한편, 상속세법 개정 처리에 나서는 등 탈이념 ‘실용주의’를 통한 우클릭에 나서며 설 연휴 직후 연이어 대권 행보에 나서는 모습이다.

이 대표는 5일 국회에서 열린 ‘트럼프 2.0 시대 수출기업 고민 듣는다' 간담회에 좌장으로 나서 “우리 대한민국이 격랑의 국제질서 속에서 안전하게 생존할 뿐 아니라 번영해 나가야 되는데 과연 그 길이 무엇일지 우리 모두가 중지를 모아야 할 때”라고 밝혔다.

이어 "일선에 있는 기업들과 경제인들의 의견이 제일 중요하다. 여러분들이 필요로 하는 것들을 가능한 범위 내에서 신속하게 만들어내는 것이 목표”라며 “최근 급변하는 국제 상황이 사실은 좀 당황스럽다, 그러나 언제나 사람의 문제는 사람이 만들어낸 것이기 때문에 지혜와 협력으로 해결이 다 가능하다고 믿는다"고 덧붙였다.

이 대표는 “과거에는 정부 주도로 문제를 해결해 왔다면 이제는 민간의 역량이 정부의 역량을 뛰어넘는 선진국 대열에 들어섰다"며 "문제를 해결하는 정말 효율적이고 빠른 방법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사실 일선에 있는 기업들, 경제인들의 의견이 제일 중요한 것 같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경제 현장에서 국제 경쟁이란 큰 파고를 일상적으로 넘고 계시는 여러분들의 의견을 진지하게 들어보고 이를 어떻게 정치·행정에 반영해 실질화할 것인지 고민해보자"며 "저희도 잘 메모해서 정책화하도록 하겠다” 말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김원준 삼성글로벌리서치 소장, 송경열 SK경영경제연구소 소장, 윤창렬 LG글로벌전략개발원 원장, 김견 HMG경영연구원 원장, 박일준 대한상공회의소 상근부회장, 추문갑 중소기업중앙회 상근이사, 이인호 한국무역협회 상근부회장 등 재계 인사들이 참석했다.

간담회는 민주당이 민주연구원을 통해 반도체, 이차전지, 자동차, 중소·중견기업 등 간담회를 진행해온 결과를 종합하는 차원에서 진행됐다.

이날 간담회에는 이 대표의 ‘책사’로 불리는 이한주 민주연구원장도 모습을 드러냈다. 이 민주연구원장은 "그간 반도체, 2차전지, 자동차 기업들과 중소중견기업들의 어려움을 경청하고 트럼프 시대에 우리 기업들이 어떤 영향을 받고 합심해야 하는지 이야기를 들었다"며 "이 대표가 당내 통상 대책을 제안한 점도 있었으니 조금 더 구체적으로 진전된 안에 대해 여당과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설 연휴 직후 연이어 대권 행보에 나서는 모습이다. 특히 탈이념 ‘실용주의’ 성장론을 언급, 이른바 ‘우클릭’에 나서며 중도층 공략에 나서고 있다.

이 대표는 반도체 특별법과 관련해 52시간제 예외 문제도 토론회를 주재하며 여당과 합의 가능성을 열어뒀다. 최근엔 ”글로벌 셀럽이 된 K-방산을 육성 및 지원하겠다”며 국방 외교의 중요성을 강조 한 바 있다. 지난해엔 금융투자소득세 폐지 및 가상자산 과세 유예에 동의했다.

민주당은 상속세법 개정안도 이달 중으로 처리하겠다는 방침이다. 관련 법안에는 상속세 일괄 공제를 5억 원에서 8억 원으로, 배우자 공제를 5억 원에서 10억 원으로 상향하는 내용이 담겼다.

한 친명계 의원은 “이 대표는 성장이 최고의 복지이며 성장을 위해선 굉장히 실용적이어야 한다고 보고 있다”며 “최근엔 기업 뿐 아니라 국가도 혁신의 주체가 될 수 있다는 주장이 국제적으로 대세다. 혁신의 마중물을 오히려 정부가 한다는 것”이라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삼성전자, 차세대 RGB 마이크로 LED TV 연내 출시한다
  • 취업만 되면 어디든 다니겠다는 취준생들…"원하는 연봉은 3400만 원" [데이터클립]
  • "밴댕이 소갈딱지"…속 좁은 그 생선을 아시나요? [레저로그인]
  • 불확실성 커지는 요즘…금테크로 안전자산 투자해볼까 [경제한줌]
  • “시계 부품회사에서 로봇까지”... 엡손 84년간 ‘성공 신화’ 살펴보니 [르포]
  • 넷플릭스 ‘중증외상센터’는 허구일까? [해시태그]
  • "1년 동안 기다렸는데"…'파피 플레이타임 4', 혹평 쏟아진 '진짜 이유' [이슈크래커]
  • 트럼프, 시진핑과 통화 무산...관세전쟁 장기화 조짐에 ‘트럼플레이션’ 위기감
  • 오늘의 상승종목

  • 02.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2,020,000
    • -1.65%
    • 이더리움
    • 4,294,000
    • +1.25%
    • 비트코인 캐시
    • 512,500
    • +0.1%
    • 리플
    • 3,911
    • -1.29%
    • 솔라나
    • 317,900
    • -1.33%
    • 에이다
    • 1,167
    • +0.52%
    • 이오스
    • 960
    • +5.15%
    • 트론
    • 352
    • +2.62%
    • 스텔라루멘
    • 531
    • -0.56%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500
    • +0.63%
    • 체인링크
    • 30,360
    • -1.91%
    • 샌드박스
    • 624
    • +2.13%
* 24시간 변동률 기준